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한잔안되겠니
한잔안되겠니

하늘에 구름은 어떻게 떠 있을 수 있나요?

화창한 날 하늘의 떠있는 구름을 보면 여러 가지 모양도 보이고 어떤 원리로 구름은 떠 있나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우리가 보는 구름은 어떻게 떠 있을 수 있으며 어떤 물질로 이루어져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구름이 하늘에 떠 있을수 있는 이유는 공기중에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아주 작은 크기로 떠있기 때문인데요. 구름을 구성하는 물질은 ㅜㅅ증기나 물방울이지만 크기가 매우 작고 가벼워 중력에 의해 떨어지지 않고 하늘에 떠있께 되는것입니다. 구름은 대기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형성되며 대기중의 수증기가 공기중에서 차가운 표면에 닿거나 기온이 떨어지면 응결하여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변하게 되는것이지요. 구름을 이루는 물방울은 매우 미세하여 일반적인 물방울은 지름이 약 10마이크로미터~15마이크로미터 사이를 나타내 우리가 눈으로 볼수 있는 크기가 아니기에 중력이 충분히 작용하지 않고 공기저항력의 영햐을 더 받게 되면서 공중에 떠있께 된답니다! 구름은 대기중에서 공기 덩어리 안에 형성되고 상승기류는 대기가 따뜻해져서 상승하거나 산악지형에 의해 공기가 상승하거나 차가운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만날때 발생하게 된답니다! 구름은 물방울이 계속 떠있을수 있또록 상승기류에 의해 유지되는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