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미술

냉철한불독44
냉철한불독44

짚신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재료와 도구, 그리고 제작 방법과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조선시대 신발인 짚신 제작과 관련된 전통적인 기술이나 과정에 대해 알고 싶은데요. 짚신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재료와 도구, 그리고 제작 방법과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순금킹 시계퀸
    순금킹 시계퀸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가을 걷이를 한다음 짚을 가지런히 정리해서 새끼줄을 꼰 다음 그 다음에 엮어서 만듭니다.


    볏짚이 귀할때 밀집이나 보리대로도 만들었습니다. 특별한 도구는 필요없으며 발모양틀과 나무망치 손으로 만듭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고대 짚신의 재료는 부들로 만들어졌다고 하며 이후 대부분 볏짚으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짚신을 만드는 것을 짚신을 삼는다라고 말하는데 그 방법으로는 짚으로 새끼를 한발 꼬아 네줄로 날을 하고 짚으로 엮어 발바닥 크기를 맞춘다음 양쪽 가장자리에 짚을 꼬아 총을 만들고 뒤 날을 하나로 모은다음 두줄 새끼를 꼬아 감아올려 울을 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짚신은 가는 새끼를 꼬아 날을 삼아 총과 돌기총으로 올을 삼아서 만든다고 합니다. 특히 여자용의 짚신은 총을 가늘고 곱게 하고, 엄지총은 곱게 물들인 짚을 섞어 만들었다고 합니다. 마감재는 보통 삼이나 닥나무 껍질 또는 짚으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짚신은 신의 형태별 분류에 의하면 운두가 낮은 이(履)에 해당하는 것으로 재료에 따라 짚신·삼신[麻履]·왕골신[菅履]·청올치신[葛履]·부들신[香蒲履] 등으로 부른다.


    옛 문헌에 의하면 ≪통전 通典≫ 변방문(邊防門) 동이(東夷) 마한조(馬韓條)에 ‘초리(草履)’가 나오고, ≪진서 晋書≫ 사이전(四夷傳) 마한조에 ‘초교(草蹻)’가 나오는 것으로 미루어 이미 삼국시대부터 착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짚신은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지닌 북방의 화(靴)와 대응하는, 남방계통 최고(最古)의 신이라 하겠다. 짚신을 삼는 방법은 짚으로 새끼를 한발쯤 꼬아 넉줄로 날을 하고, 짚으로 엮어 발바닥 크기로 하여 바닥을 삼고, 양쪽 가장자리에 짚을 꼬아 총을 만들고 뒤는 날을 하나로 모으고, 다시 두 줄로 새끼를 꼬아 짚으로 감아 올려 울을 하고, 가는 새끼로 총을 꿰어 두르면 발에 신기에 알맞게 된다.


    먼길을 갈 때와 들일을 할 때 착용하였으며, 생삼을 짚과 섞어 삼은 삼신은 상제(喪制)가 신었고, 그 밖의 것은 선비들이 맑은 날 가까운 나들이에 착용하였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