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끈질긴오솔개241
끈질긴오솔개24122.01.20

코로나 백신 부작용 괜찮을까요?

나이
37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독감 접종후 부작용으로 면역계가 무너져서

한달동안 병원신세를 경험한 적이 있는데..

이런 경험이 있나면 코로나 백신을 맞아도

괜찮을까요? 부작용이 무섭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성규 약사입니다.

    발열, 두통, 몸살, 근육통이 같이 있을 수 있으며

    호흡이 가빠오거나 메스꺼움, 구토증상까지 가능합니다

    가려움, 알레르기 증상이 같이 동반될 수 있으니 심하시면 병원으로 얼른 가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영 의사입니다.

    코로나 백신 접종 후 일반적으로 가장 흔한 발생되는 부작용으로는

    발열

    피로

    두통

    근육통

    오한

    설사

    두드러기

    겨드랑이 림프절 비대 및 통증

    접종 부위의 통증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충분한 휴식과 적절한 약물복용 등으로 해결되는 문제이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지속적으로 불편함을 느끼신다면 가까운 병원을 방문하시길 권해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화이자/모더나는 코로나 바이러스 정보 중 스파이크 단백질 생성이 가능한 mRNA를 주입하여 인체가 스파이크 단백질을 미리 인지하여 항체를 형성하고 기억 T세포에 면역반응이 일어나도록 유발합니다. mRNA는 이중나선구조가 아닌 상태로 존재하므로 파괴되기 쉬워 PEG 라는 막으로 보호하여 인체에 전달하게 됩니다. 이 PEG 성분이 심한 알러지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에 우리 몸의 방어체계가 형성되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쉽습니다. 그래서 부산물로 이상반응인 열, 두통, 피로감, 관절통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상반응은 백신마다 상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백신에 대한 이상반응은 개인차가 매우 크고 독감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이 무엇때문인지 정확히 알기 어렵다면 코로나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해서도 짐작하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자님께서는 독감 백신 접종 후 부작용으로 병원에 입원한 경험이 있는데 코로나 백신 접종이 가능한지 궁금하시군요.

    정확히 독감 백신 접종 후 어떤 부작용이 발생한 것인지 정확히 알 수 없어서 적절한 답변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독감 백신을 접종 맞았던 병원에 전화하셔서 문의해보시는 것을 권합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1.22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해당증상이 중증 접종이상반응으로 백신패스를 대체하는 진단서 발급 대상에는 해당하지 않을 수 있지만 부작용이 있었던 모든 환자분들은 부작용이 반복될 가능성이 있어 무조건적인 접종을 권유드리지는 않습니다. 접종이 가능한 상태이나 주치의와 상의 후 신중한 접종결정을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네 괜찮습니다.

    현재까지는 현증 코로나 감염, 발열, 코로나 백신에 대한 아나필락시스 외에는 특별한 금기 사항이 없습니다. 대부분의 만성 질환자들도 코로나 백신을 맞는 것으로 권고되고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오히려 기저질환자들이 코로나 감염시 중증도가 높기에 예방접종을 더 맞으셔야 합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맞으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용호 약사입니다.

    백신으로 인한 알러지 때문에 많이 걱정이 되시겠습니다.

    질병관리청의 공식 내용을 참고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음식 알레르기 등 경한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예방접종 금기는 아니나, 백신의 구성 물질에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중증의 알레르기반응 발생 이력이 있는 경우 또는 1차 접종에서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나타난 경우 접종 금기입니다. 다른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의 병력이 있는 경우 의사와 상의가 필요합니다.

    (화이자, 모더나) polyethylene glycol(PEG) 또는 관련 성분(molecules)에 중증 알레르기 반응 발생 이력이 있는 경우 접종 금기대상에 포함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polysorbate에 중증 알레르기 반응 발생 이력이 있는 경우 접종 금기대상에 포함
    * PEG와 polysorbate는 구조적으로 관련되어 있어 교차과민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 필요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주치의와 상담해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독감백신의 경우 벡터를 이용한 백신이기에

    아스트라제나카나 얀센계열이고

    화이자나 모더나는 mRNA 라는 다른 계열이기에 맞으셔도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독감 접종후 부작용으로 면역계가 무너져서 한달동안 병원신세를 경험한 적이 있는 경우 백신접종여부는 의사와 상의하에 접종가능여부를 확인하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독감 백신 접종 이후에 문제가 생겼다면

    원인에 대해서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알러지반응 등으로 인하여 문제가 생긴 것이라면 코로나 백신을 접종하시기 보다는

    담당 주치의와 상담을 통해 접종 가능 여부를 고려해보시는걸 권장드립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과거에 백신에 알러지가 있거나 부작용이 심했던 경우라면 코로나 백신 접종 후 같은 증상을 겪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너무 걱정되면 우선 접종하지 마시고 부작용 개선된 노바백스 백신 출시되면 접종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알러지가 아니라면, 독감백신의 부작용으로 코로나 백신의 부작용을 예측할 수는 없습니다.

    대부분 발열, 두통, 근육통, 무기력증 등의 인체에 큰 문제를 일으키는 후유증은 아니며 1주일 이내에 소실됩니다. 많은 분들이 걱정하는 중증알레르기반응의 경우 발생확률은 극히 적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독감 접종 당시에 면역 반응이 너무 과도했다면 코로나 백신으로도 그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와 같은 증상을 경험한 분들은 반드시 접종 전에 몸 상태를 점검하고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동일한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비약 등을 구비하거나 접종 계획을 바꾸는 것도 필요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현재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접종시 이점과 부작용여부를 비교하여 보고 이점이 클때 접종을 권장드리며 현재 치료를 받는 주치의와의 상의하에 백신 접종여부를 결정하시어야합니다.

    접종전에는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시는 것을 권장드리며 접종당일에 열감이나 면역반응이 있는 경우 접종이 불가합니다. 접종당일 의사와의 상의하에 접종여부를 결정하시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독감 백신의 부작용력은 백신 접종의 금기증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또한 기저질환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 인구와 동일한 관점에서 백신 접종을 받아도 괜찮겠습니다. 접종 받으시는데 문제될 것은 없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오히려 코로나 백신을 더욱 적극적으로 접종을 해야 합니다.

    기저질환이 있을 경우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면 중증도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코로나 백신 접종에 대해 만일 백신 부작용 등의 이유로 접종을 꺼리시는 거라면, 백신을 접종받지 않아서 생기는 부작용으로 인해 합병증이 오는 빈도가 더 높으므로 백신 접종을 하실 것을 권고드리는 바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코로나 백신 금지 대상은 아니지만 부작용이 걱정되신다면 반드시 접종을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백신 접종 후 위험할수도 있기에 코로나 감염에 주의하면서 생활하시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독감 접종 이후 부작용으로 면역관련 부작용이 있었다면 전문가와 상의가 필요합니다. 코로나 백신도 독감 백신 접종과 비슷한 형태로 면역이 유도되는 만큼 관련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보입니다. 따라서 전문가와 몸 상태를 다시 한번 평가받아보고 접종을 고려하시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독감 바이러스와 코로나 19 바이러스는 전혀 다른 바이러스이고 따라서 백신도 다릅니다.

    기존에 다른 백신 접종 이후 이상반응이 있었다는 점은 접종 전 검사때 주의해서 살필 사항이지만 그렇다고 백신을 못 맞는 것은 아닙니다.

    자세한 사항은 접종 문진시 말씀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혜 약사입니다.

    백신 부작용으로 흔히 나타나는 건

    피로, 근육통, 울렁거림 등이 있으며

    피부 알레르기나 호흡곤란 등이 나타날 수 있어요


    위험한 경우엔 의료기관에 즉각 방문하셔야 하고

    가벼운 발열, 두통 등의 증상이시면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약을 드시는 게 좋습니다


    증상 개선이 잘 안 된다면 의료기관에

    내방하셔서 정확한 검진을 받으시구요

    제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항상 건강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나는 국소 이상반응은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별다른 조치 없이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이는 정상적인 면역형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만, 39℃ 이상의 고열, 알레르기 반응(두드러기나 발진, 얼굴이나 손 부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이상반응의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정도라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현재까지 감염을 예방하고, 감염 유행을 종식시킬 수 있는 유일한 해답은 백신 접종을 통해 항체를 획득하는 것입니다.그리고 대다수의 사람들이 항체를 획득하여 집단 면역을 형성하면 간헐적인 감염이 발생하더라도 지금처럼 대유행하는 감염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최근 질병관리청 발표에 따르면 만18세 이상 코로나19 백신 미접종자는 전체 대상자의 6.2%에 불과하지만, 사망자 (1,818명)중 미접종자는 53.2%, 위중증 환자 (3,598명) 중 미접종자는 53.1%를 차지하여 백신 예방접종 효과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임상시험을 통해 지금까지 알려진 부작용은 모더나, 화이자에서 모두 유사하게 나타나며 1,2차 접종과 추가접종 사이의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상반응은 전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여러 이상반응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발열이나 근육통, 두통과 같은 증상이 비교적 흔하게 일어나며 접종 후 면역반응이 과도하게 일어나면서 발생합니다.이와 같은 증상은 접종 후 2~3일 동안 심하고 점차 호전됩니다.

    근육통의 경우 접종 부위나 그 주변 뿐만 아니라 신체 어디든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 발생시 해열제 (타이레놀과 같은 아세트아미노펜 계열)을 복용하시고, 이 기간에는 가급적 무리한 신체활동을 삼가시고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해주시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복용 후에도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투약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내원하시어 추가적인 진찰 및 치료를 받으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일반적으로 발열, 근육통, 두통이나 접종 부위의 국소적인 증상은 3일 정도 지속되며 대부분 1주 이내 호전됩니다.

    접종 전 아세트아미노펜 복용은 새로운 가이드라인에서는 권장하지 않으며 증상이 생기면 드시는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 기간에는 가급적 무리한 신체활동을 삼가시고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해주시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투약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내원하시어 추가적인 진찰 및 치료를 받으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일반적으로 발열, 근육통, 두통이나 접종 부위의 국소적인 증상은 3일 정도 지속되며 대부분 1주 이내 호전됩니다.

    접종 전 아세트아미노펜 복용은 새로운 가이드라인에서는 권장하지 않으며 증상이 생기면 드시는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화이자/모더나 백신 접종 후 드물지만 심근염, 심막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숨이 차거나 가슴통증이 있는 경우,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실제로 맥박이 빨리 뛰는 경우, 실신 등이 있다면 내원하시어 진찰을 받으셔야 합니다.

    해외에서 보고된 바에 따르면 드물게 발생하는 심근염, 심막염은 2차 접종 후, 젊은 남성에서 더 자주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 사례는 매우 드물며 (접종 100만명당 10명 이내) 조기 진단하여 치료할 경우 특별한 후유증 없이 치료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