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음악

산야촌부100
산야촌부100

마트에서 간식거리로 샀는데 만쥬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마트에서 간식거리로 밤만쥬라고 하는걸 샀는데 보니 밤앙금이 들어 있고요.

근데 이름이 만쥬라고 되있던데 만쥬라는 말이 뭔뜻이고 유래가 어떻게 되는 지요?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여래 유래설이 있지만 공통점은 일본의 화과자라고 합니다.

      하나는 화과자의 시조가 되었다는 나라 만쥬로, 임제종 류산 토쿠겐 선사가 1349년에 귀조했을 무렵, 중국의 원나라에서 속제자로 들어온 임정인이 만들어냈다는 것. 본래는 선종이 차와 곁들여 먹을 과자로 만두를 떠올렸으나, 당시 일본은 육식금지령으로 인해 고기를 먹을 수 없었기 때문에 대신 팥이 들어가는 만두를 고안해냈다고 합니다. 그 후 나라현의 간고 신사에 거주하며 시오세라는 가게를 세우게 됩니다. 이리하여 간고 신사 내에는 '린신사'라 불리는 만쥬 신사에서 과조신으로서 모셔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만쥬에 대한 기원은 2가지로, 하나는 화과자의 시조가 되었다는 나라 만쥬로 , 임제종 류산 토쿠겐 선사가 1349년 귀조했을 무렵, 중국의 원나라에서 속제자로 들어온 임정인이 만들어냈다는 것입니다. 본래 선종이 차와 곁들ㄹ여 먹을 과자로 만두를 떠올렸으나 당시 일본은 육식금지령으로 인해 고기를 먹을수 없었기 때문에 대신 팥이 들어가는 만두를 고안, 그 후 나라현의 간고 신사에 거주하며 시오세라는 가게를 세우게 되었고 간고 신사 내에 린신사 라 불리는 만쥬신사에서 과조신으로서 모셔지고 있습니다.

      또 하나는 하카타 만쥬로 위보다 100년 더 거슬러 올라가는 1241년 남송으로 건너간 엔니가 후쿠오카 하카타에서 전파한 제법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엔니는 츠치노도에서 임제송 승천사를 청설한 하카타 서쪽의 아라츠야마 일대를 탁발 다니고는 했는데 늘 친절을 베풀어 주곤했던 찻집 주인에게 만두 만드는 법을 전수했다고 전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만쥬란 중국의 만두가 변화한 것으로, 밀가루, 쌀등의 반죽에 소를 넣고 찌거나 구워서 만듭니다. 한자 표기도 饅頭(만두)로 만토우와 같지만 '万十', '万頭', '曼頭' 등으로도 표기하기도 합니다. 참고로 한국에서 만두라고 부르는 종류의 요리를 일본에서 찾는다면 세부 종류에 따라 교자 니쿠망(고기만두)등이라 하는데요. 이러한 만두에서 착안 해서 한국의 회사인 델리 만쥬가 1998에 4호선 명동역 델리만쥬 매장을 1호점으로 시작하였습니다. 1998년에 처음으로 생산되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만쥬는 속에 만두 속 대신에 크림이나 앙코등을 넣어서 한국식 음식으로 자리 매김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의 전통적이고 전형적인 단과자로, 화과자에 해당한다. 속설에 따르면 만주는 1341년 원나라에서 돌아온 일본의 승려 류잔(龍山) 선사와 함께 귀국한 임정인(林淨因)이라는 중국인이 절에서 고기 대신 단팥을 넣어 만두를 빚었던 것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팥소 만두, 즉 안만(餡饅)이 큰 인기를 끌면서 일본의 만쥬(饅頭)로 발전하였다는 것이다. 만주 반죽의 재료는 밀가루나 쌀가루가 쓰이는 것이 보통이며 그밖에 칡가루, 메밀가루 등이 쓰일 수 있다. 속재료로는 주로 팥이 쓰이는데, 그밖에 완두콩이나 흰강낭콩, 밤, 고구마, 참깨, 말차, 미소된장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주로 따듯한 차와 먹는 음식이다. 만주는 크게 구운 만주인 야키만주(焼き饅頭))와 찐 만주인 무시만주(蒸し饅頭)로 구분할 수 있다. 그밖에도 다양한 종류와 무수한 변형이 존재하는 식품으로, 반죽을 기준으로 하면 크게 5종류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로 일반 만주는 밀가루, 흑설탕으로 만든 만주로, 차를 넣어 만든 자만주(茶饅頭), 겉면이 황갈색을 띠는 고쿠토만주(黒糖饅頭)가 여기에 속한다. 두 번째는 쌀가루와 참마를 활용하여 만든 야마이모만주(薯蕷饅頭)로 여기에는 축하 행사에서 주로 쓰이는 붉은색과 흰색을 띠는 한쌍의 만주인 고하쿠만주(紅白饅頭), 오리베 도자기를 본떠 만든 오리베만주(織部饅頭)가 있다. 세 번째는 밀가루와 스타터 혹은 이스트를 사용하여 만든 사케만주(酒饅頭)로 만주의 유래인 안만(餡饅)이 해당된다. 네 번째는 카스테라와 같은 구운 반죽의 질감이 특징적인 야키만주로, 단풍잎 모양의 모미지만주(もみじ饅頭), 밤 모양의 구리만주(栗饅頭)가 여기에 속한다. 다섯 번째는 미소된장과 밀가루를 사용한 반죽이 특징적인 미소만주(味噌饅頭)로 야마나시현 미노부초에서 만들어지는 미노부만주(身延饅頭)가 해당한다.

      출처 : 두산백과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의 만두가 변화한 것으로, 밀가루, 쌀 등의 반죽에 소를 넣고 찌거나

      구워서 만듭니다. 한자 표기도 饅頭(만두)로 만터우와 같지만 '万十', '万頭', '曼頭' 등으로도 표기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만주는 일본의 화과자로 중국의 만두가 변화한 것으로, 밀가루, 쌀 등의 반죽에 소를 넣고 찌거나 구워서 만듭니다. 한자 표기도 饅頭(만두)로 만터우와 같지만 '万十', '万頭', '曼頭' 등으로도 표기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