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탁월한다슬기39
탁월한다슬기39

통화정책을 제외하고 인플레이션을 잡는 방법은?

보통 코로나 때와 같이 엄청나게 범 국가적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때에는 국가가 개입하여 인플레이션을 진압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는 중앙은행 주도로 금리 조정을 통한 통화정책으로 물가를 잡는 경우가 일반적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을 잡을 때, 통화정책을 제외하고 다른 방법으로 잡을 수도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외국에 잘 사는 나라를 보면 물가도 높고 임금도 높습니다 어찌 보면 그것이 자연스러운 걸 수도 있는데요 우리나라는 비정규직이 많기 때문에 그들은 소비를 잘 못합니다 고소득자들이 소비를 많이 하고 있지요 또한 자산이 많은 사람들이 독과점으로 물가를 올리는 부분도 있다고 보고 있기 때문에 독과점을 저항할 수 있는 소상공인들이 잘 돼야 한다는 생각도 있습니다

  • 인플레이션을 억누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통화정책이지만 이외에도 정부가 지출을 줄이고 세수를 늘리는 방법, 생산성 향상과 원자재 가격안정을 위한 공급망 개선, 기업들이 임금인상을 자제하도록 유도하는 정책, 세금인상과 복지 혜택 축소 등의 정책을 통해서도 인플레이션을 낮출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통화정책을 제외한 인플레이션 억제 방법으로는 공급 측 개혁, 세금 조정, 가격 통제, 수출입 규제 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생산성을 높여 공급을 증가시키거나, 세금을 통해 소비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네, 재정정책으로 잡을 수 있는데 세율을 인상하고, 정부지출을 줄이는 형태로 인플레이션을 잡을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 상승을 억제하는게 재정정책이랑 통화정책 둘 다 가능하죠

    통화정책을 제외한 재정정책은 세금을 올린다던가 공공사업 등 과 관련된 정부의 지출을 줄이는 방식으로 하는게 일반적입니다 재정지출을 줄이면 소비와 투자가 감소하죠 그런데 재정정책은 통화정책보다 물가상승을 억제하는데 시간이 더 소요 되고 국민들 반발도 쌔죠 그래서 보통 통화정책으로 물가상승을 억제한다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그럼 올해 한해 마무리 잘하시구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통화정책을 제외하고 인플레이션을 잡는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대체적으로 통화정책을 통해서 인플레이션에 대응하지만

    특정 상품에 대해선 물건을 긴급하게 수입함으로서

    대응할 수도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들의 기술 개발과 혁신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켜 기업의 이익이 증가하면 제품 가격 인하로 이어져 물가상승을 억제하기도 합니다. 또한 소비자들은 과도한 소비를 자제하고 필요한 물건만 구매하는 합리적인 소비가 수용조절로 인플레이션을 억제할 수 있죠.

    또한 임금인상을 적절한 수준으로 하면 인플레이션 억제에 도움이 됩니다.

    참고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사실상 인플레이션을 잡는 방법은 통화정책말곤 시간 끌기 밖에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각종 정책들이 효과가 있는 것이 아니라 그저 국가 경제침체에 대하여 사회적 혼란 방지나 죽지 않을 정도만 곶간을 풀어 버티는 것이죠.

    이번엔 약 3년치가 확 땡겨져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였고 그로 인하여 고통을 받고 있는 것인데

    이것이 내년까지는 피크를 찍고 다시금 회복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 전까지는 그저 버티기일 뿐 효과적인 것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