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명나라시대의 양명학이란 어떤 학문이였나요?
중국 명나라시대에 양명학이라는 학문이 있었다고 하던데요, 그런데 중국 명나라시대의 양명학이란 어떤 학문이였나요? 유학의 일종으로 보면 되는가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양명학은 중국 명나라 시대에 왕수인이 주창한 철학 사상으로, 인간의 마음 속에 존재하는 '양지(良知)'를 통해 모든 사물을 인식하고 판단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불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개인의 자유와 평등을 강조하며, 실천적인 삶을 중요시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진시황제가 중국을 천하통일하면서 사상적 기반으로 삼았던 사상은 이사 한비자의 법가사상이었습니다. 반면에 자신의 노선에 반대하는 유학자들을 생매장시키고 유교경전(복서 농서 등을 제외함)을 모아서 불살라버리는 분서갱유를 저질러서 한ㆍ당나라 때는 경하과 훈고학의 모습으로 송나라 때는 성리학 명나라 때는 양명학 청나라 때는 고증학의 모습으로 변모되어 왔습니다. 명나라 때 왕수인에 의해 만들어진 유학의 분류인 양명학은 존천리 거인욕(천리를 보존하고 인욕을 제거한다)의 유학의 원리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모든 사물은 마음 속에 있다는 심외무리 심외무물을 주장하면서 심즉리설을 강조하였습니다. 앎과 행함을 하나로 보는 지행합일설을 주장하였으며 치양지설로 타고난 본성을 유지하기만 하면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송의 성리학이 조선 조 500여년의 사상적 기반이 된 것과는 대조적으로 양명학은 우리나라에 강화도를 중심으로 한 정제두의 강화학파로 국한되어 발전하지 못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양명학과 같은 경우에는 중국 명나라 중기에 태어난 양명 왕수인이 이룩한 신유가철학을 말하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명나라 시대의 유교인 양명학은 성리학의 교조화 및 형식화를 비판하며 실천성을 강조하며 치양지설과 지행합일을 주장하였다고 합니다. 중국 명나라 중기에 태어난 양명 왕수인이 이룩한 신유가철학인 양명학은 우리나라에도 전래가 되어 발전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