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한문가사인 보태평 어떤 특징의 음악인가요?
조선시대 세종 시절 한문가사로 만들어진 보태평은 조상의 문덕을 칭송하는 음악으로 알고있는데요. 11곡으로 구성되어 있는 보태평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보태평》은 태조 이전의 4대조에 태조, 태종의 공을 칭송하고 있는 내용이다.
1463년 세조 9년에 보태평과 정대업을 개편하여 세조 10년에 처음으로 종묘제향에서 연주되었다. 이 제례악은 선조 때 임진왜란으로 음악이 약화되었으나 광해군 때 점차 복구되었으며, 1626년 인조 4년에 보태평 중 《정명장》(定明章) 다음에 《중광장》(重光章)을 삽입하였으며, 1946년까지 제향에서 연주하였고, 그 후 중단되었다.
원래 《보태평》과 《정대업》은 세종 때 연례(宴禮)에 연주되었는데, 세조 9년(1464)에 이르러 향악이 아악 대신에 종묘제향악으로 채용되었다. 이에 따라서 짧은 제향(祭享) 절차에 맞게 《정대업》 15곡이 《보태평》과 균일하게 11곡으로 감소되었고, 또 각 곡의 가사와 음악도 단축되었다. 그리고 《보태평》의 임종궁 평조와 《정대업》의 남려궁 계면조가 각각 황종궁(黃鍾宮)의 평조와 황종궁 계면조로 고쳐졌다. 이같이 개혁된 《보태평》과 《정대업》의 악보는 《세조실록》에 게재되었다. 이 개혁된 종묘악이 비록 후세에 그 리듬은 변개되었지만 조선 말까지 약 500년간 계속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