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억 계정을 수용할 수 있는 리브라의 트랜잭션 처리속도 정말 가능한가요?
어제 발표한 리브라 백서의 내용 중에 수십억 계정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 속도를 갖추겠다는 내용이 있는데요.
개발기간이 훨씬 길었던 결재 특화 코인들도 아직 구현하지 못한 저 정도의 속도를 리브라가 정말 구현해 낼 수 있을까요?
기술적으로 현재 실현가능한 얘기인지 궁금합니다.
실현 가능합니다.
수억명이 사용하는 비자 카드의 TPS 즉, 트랜잭션 속도가 2만4천정도이며
이는 샤딩 기술을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습니다.
최근 메인넷을 한 쿼크 체인은 한정된 환경이긴 하지만 5만 TPS까지도 가능한 것으로 밝히고 있으며, 질리카 또한 TPS 에 최적화된 암호화폐입니다.
참고로 비트는 7TPS, 이더리움도 20TPS 전후의 속도를 갖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인 KT는 2019년 말까지 10만 TPS를 개발 목표로 삼고 있기도 합니다.
따라서 처리 속도의 벽은 얼마든지 극복 가능한 것으로 예상됩니다.
참조 : https://decenter.sedaily.com/NewsView/1S4J6JOQIX
오늘 나온 뉴스에 따르면 리브라는 블록마니아라는 합의 프로토콜로 초당 40만건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다고합니다.
[외신 "리브라 합의 프로토콜 개발사, 리브라 로드맵에 포함 안돼"]
20일 미국 IT 전문 미디어 와이어드(Wired)에 따르면, 페이스북 리브라 로드맵에 영국 소재 블록체인 스타트업 체인스페이스(chainspace)의 기술이 언급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는 "체인스페이스는 샤딩(sharding) 솔루션과 이론상 초당 40만 건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 리브라의 합의 프로토콜 '블록마니아(Blockmania)'의 개발을 맡아왔다"며 "해당 업체가 페이스북에 인수된 후 리브라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뤘다"고 설명하며 리브라 로드맵에 체인스페이스 기술이 왜 포함되지 않았는지 의문을 표했다. 체인스페이스는 런던대학교(UCL) 정보 보안 연구팀 소속 연구원들로 구성됐으며, 지난 2월 페이스북에 인수됐다.
-
콘텐츠 공유 시 출처를 밝혀주세요
'코인니스 앱 다운받기'
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