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

능동감시자와 수동감시자 무슨 뜻인가요?

코로나로 인해 배우는 것도 많아지고 어느새

인내심도 길러지고 있고, 마음에도 근육이 생기는

것 같아요. 자가격리만 알겠고, 위 두가지 뜻은 잘 모르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노련한말똥구리165
      노련한말똥구리165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능동감시자는 매일 보건소에서 1~2회의 연락을 받아 그날의 상태를 보고해야합니다. 수동감시자는 보건소의 연락을 받지 않으며 그날의 상태를 자가로 판단하여 이상이 없다면 보고를 하지 않고 이상이 있다면 보건소에 보고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능동감시자는 예방접종이 완료되어 코로나검사시 음성이 나타나고 증상이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무엇보다 확진자와 밀접접촉이 아닌 경우를 말하며 마스크 착용 및 안전거리를 유지한 상태일때입니다.

      수동감시자는 예방접종이 완료되어 코로나 검사시 음성이 나타나고 증상이 없는 경우는 맞지만 확진자 발생 당시, 밀접접촉을 하였으나 고위험 집단시설에 함께 있지 않았을 경우에 해당하게 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수동감시자는 확진자와 밀착접촉을 하여 자가격리대상이지만 백신접종을 완료한 경우 나라에서 정한 조건내에 포함시 격리가 면제 가능한 경우이며 능동감시는 확진자와 밀착접촉이 아닌 동성이 겹쳐 감염 가능성이 있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영 의사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아래는 수동감시와 능동감시에 대한 글을 정리해놓은 것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수동감시'는 공식 용어 아냐…편의상 쓰여

      간단히 말하자면 능동감시는 대상자를 격리하지 않는 대신 관할 보건소에서 14일간 하루에 두 번 연락해 발열, 호흡기 증상 여부를 확인하는 방안이다. 자가격리보다는 낮은 감시 수준이다. 자가격리 대상자는 보건소가 매일 증상을 체크하므로 자가격리가 능동감시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수동감시는 능동감시보다 더 엄격해진 조치로 대상자가 스스로 발열, 호흡기 증상을 체크해 변화가 있을 경우 보건소로 연락하는 것을 말한다.

      수동감시는 일반적으로 능동감시 대상자가 14일 이내 음성 판정을 받아 감시가 해제된 경우 안내되는 주의사항 정도로 보건당국의 공식 용어는 아니다. 편의상 현장에서 능동감시와 대비되는 용어로 쓰여왔다. 능동감시 역시 대응절차 개정 이후 대상자가 사라지면서 사실상 쓰이지 않게 됐다. 다만 아직 감시가 해제되지 않은 기존의 능동감시 대상자들이 있어 보건당국의 일일 집계에 포함된다. 

    • 안녕하세요. 이상민 약사입니다.

      능동감시자는 코로나 확진자와 밀접접촉자가 아닌 경우입니다.

      수동감시자의 경우에는 아래 3가지 경우입니다.

      1. 밀접접촉 당시에 이미 예방접종 완료자였을 것(예방접종완료 후 2주 경과된 자)

      2. 코로나19 임상증상이 없을 것

      3. 확진자가 발생한 고위험 집단시설의 입소자, 이용자, 종사자가 아닐 것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능동감시와 수동감시의 경우 아래와 같이 구분됩니다.

      1) 능동감시: 확진자와 밀접 접촉한 것은 아니나, 동선이 겹쳐 감염 가능성이 있는 경우

      2) 수동감시: 확진자의 밀접접촉자로 자가격리 대상이나, 예방접종 완료자의 경우 한해 격리 면제 가능, 자가격리 면제 후에는 수동감시 실시

    • 안녕하세요. 닥터최입니다.

      밀접 접촉자는 2주간 자가격리가 원칙이나백신 접종 완료 후 2주가 지난 상태에서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면 자가격리가 아닌 수동감시자가 됩니다.

      1. 코로나 PCR 검사 음성

      2. 코로나 감염증 증상이 없을 것

      3. 장기요양기관 등 고위험 집단시설의 이용자나 종사자가 아닐 것

      다만 최종 접촉일로부터 6~7일차에 실시한 PCR 검사 결과에서 양성인 경우에는 즉시 자가격리 및 확진자로 전환됩니다. 수동감시가 유지될 경우 14일이 경과하면 수동감시도 종료됩니다.

      능동감시란 증상이 없고 확진자의 밀접 접촉자는 아니나 확진자와 동선이 겹쳐 감염 가능성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능동감시자는 코로나확진자와 밀접접촉자가 아닌경우에 해당합니다.

      수동감시자는 첫째 밀접접촉당시 접종완료 후 2주가 경과한상태, 둘째 코로나증상이 없고 셋째 확진자가 발생한 고위험 집단시설의 이용자 종사자가 아닐경우에 해당합니다.

      능동감시자는 스스로 증상을 보고하며 수동감시자는 담당보건소 직원을 통해 증상을 주기적으로 체크받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수동감시'는 공식 용어 아냐…편의상 쓰여

      간단히 말하자면 능동감시는 대상자를 격리하지 않는 대신 관할 보건소에서 14일간 하루에 두 번 연락해 발열, 호흡기 증상 여부를 확인하는 방안이다. 자가격리보다는 낮은 감시 수준이다. 자가격리 대상자는 보건소가 매일 증상을 체크하므로 자가격리가 능동감시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수동감시는 능동감시보다 더 엄격해진 조치로 대상자가 스스로 발열, 호흡기 증상을 체크해 변화가 있을 경우 보건소로 연락하는 것을 말한다.

      수동감시는 일반적으로 능동감시 대상자가 14일 이내 음성 판정을 받아 감시가 해제된 경우 안내되는 주의사항 정도로 보건당국의 공식 용어는 아니다. 편의상 현장에서 능동감시와 대비되는 용어로 쓰여왔다. 능동감시 역시 대응절차 개정 이후 대상자가 사라지면서 사실상 쓰이지 않게 됐다. 다만 아직 감시가 해제되지 않은 기존의 능동감시 대상자들이 있어 보건당국의 일일 집계에 포함된다.

      출처 : 청년의사(http://www.docdocdoc.co.kr)

    •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밀접접촉자는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마스크 착용 여부, 접촉한 시간, 접촉한 거리, 밀폐 공간 여부, 백신 접종 여부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보건소에서

      밀접접촉자인지 아닌지에 대해서 결정됩니다. 접종완료자라도 밀접접촉자로 분류된다면 자가격리에 해당됩니다.

      격리 기간은 무증상시 10일간 격리하고 유증상시 10일 중 마지막 24시간은 증상을 본 뒤 격리에서 해제됩니다.

      수동감시자는 밀접접촉 당시에 코로나 백신 예방접종 완료자이시면서 코로나 임상증상이 없으시며

      고위험 집단시설 이용자, 종사자등이 아닌 경우에 수동감시를 실시하게 됩니다.

      이 경우에는 자가격리를 하지 않는 대신 기간내 PCR검사를 2회 받으시게 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능동감시
      - 확진자의 밀접 접촉자는 아니나, 확진자와 동선이 겹쳐 감염 가능성이 있는 경우, 능동감시 실시.
      <준수 사항>
      확진자와 접촉 후 14일이 경과하는 날까지 증상 모니터링, 방역수칙 준수, 다중 이용시설 방문 자제
      수동감시

      - 확진자의 밀접접촉자로 자가격리 대상이나, 예방접종 완료자의 경우 아래 조건을 모두 충족한 경우에 한해 격리

      면제 가능, 자가격리 면제 후에는 수동감시 실시.
      <조건>
      ① 밀접접촉 당시에 이미 예방접종 완료자였을 것 (※예방접종 완료자: 예방접종완료 후 2주 경과된 자)
      ② 코로나19 임상증상이 없을 것
      ③ 접촉한 확진자가 해외입국 확진자가 아닐 것
      ④ 접촉한 확진자가 해외입국 확진자로부터 감염된 확진자가 아닐 것
      ⑤ 접촉한 확진자가 베타형·감마형·델타형 변이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이 아닐 것
      <준수 사항>
      1) 확진자와 접촉 후, 14일이 경과하는 날까지 증상 모니터링, 방역수칙 준수, 다중 이용시설 방문 자제
      2) 확진자와의 최종 접촉일로부터 6~7일차에 PCR 검사 실시
      ※ 검사를 받지 않을 경우, 즉시 자가격리로 전환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능동감시자는 보통 확진자와 접촉자가 서로 마스크를 낀 상태이며 거리두기를 하였지만 5분 이내에 접촉한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2m정도 거리를 유지하더라도 15분 이상 머물면 능동감시자로 분류되게 됩니다.

      수동감시자는 코로나 백신을 2차까지 맞은 사람이 확진자와 가까이서 15분 이상 정도 오랜 기간 머문 경우를 말하게 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능동감시 대상자는 검사결과 음성에 코로나 증상이 없어야하며 변이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자이며 수동감시 대상자의 경우 접종완료 후 14일 경과, 코로나 증상이 없어야하며 확진자 발생장소가 고위험 집단 시설이 아니어야합니다. 수동감시의 경우가 좀 더 자유롭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