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게소 음식은 왜 조금 비싼걸까요?
같은 음식이여도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파는 음식은
더 비싼편인데 왜 그런가요?
심지어 가격이 일정한 편의점에서 파는 물품마저도 조금 더 비싼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의연한허스키190입니다.
휴게소 음식이 비싼 이유는 임대료때문입니다. 고속도로 휴게소는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위치해 있어 임대료가 비쌉니다.
안녕하세요. 견실한상사조199입니다.
휴게소에 입점한 사업자는 매출액의 특정 비율을 임대료로 납부해야 합니다. 정액이 아니라 정률로요.
그 수수료 비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타 매장에 비해 음식값이 자연스럽게 비싸집니다.
관련 보도에 따르면 휴게소의 수수료 비율은 40%대라고 합니다.
매장이 1만원짜리 음식을 팔면 4천원을 도로공사에 내야하는거죠.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17783?sid=102
안녕하세요. 즐거운 나날입니다.
뉴스에 보니 도로공사 임대료가 너무 비싸기 때문이라지요.
거기다
다시 올지 가늠할 수 없는 뜨네기 고객이 대부분이므로
저렴하게 할 필요성이 별로 없는 이유도 있을 겁니다.
심지어 고객들은 선택의 여지가 없기도 하지요.
그러니 선택의 여지가 없는 고객에다
뜨네기 손님이라는 상황이 음식값을 비싸게 책정했을 겁니다.안녕하세요. 조그만느시93입니다.
고속도로 휴게소는
한국도로공사(임대인) -> 운영권업체(임차인겸 관리업체) -> 개별점포들(임차인) 으로 계약되는 방식입니다
운영권을 가진 업체는 개별점포들에게 판매된 금액의 일정수준의 수수료를 받고, 이 수수료금액을 한국도로공사(임대인)에게 임대료를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이때 받는 수수료율이 41~51%로 굉장히 높습니다.
그래서 휴게소 음식은 수수료 때문에 비쌀 수 밖에없습니다
안녕하세요. 따사로운사슴이닷입니다.
고속도로에서는 파는 곳이 휴게소 밖에 없으니 가격이 조금 비쌀 수 밖에 없습니다.
그곳에서는 선택지도 없고 또한 일하는 사람 입장에서 다른 곳과 똑같이 돈을 받으면
그 가게를 운영할 수가 없으니까여.
안녕하세요. 위대한거북이239입니다.
휴게소에 자릿세가 있을테니 물건을 더 비싸게 팔아야 마진이 남기 때문입니다.
휴게소에 들리는 사람은 매우 제한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jis1874입니다.
도로 공사의 임대료가 비싸서 음식 가격이 비싼것 같습니다ㆍ이윤을 남기기 위해서 음식 가격이 높은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