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때론믿음직한연어회
때론믿음직한연어회

이 중 하고싶은거 다 하려면 어떤 루트가 좋을까요?

핵융합, 양자컴퓨터, 로봇설계, 초전도체등등 잡다하게 관심있다면

  • 물리학과 졸업후 전자전기대학원진학

  • 전자전기학과졸업후 물리대학원진학

  • 전전졸업후 전전대학원진학

중에 어떤게 좋을까요? 연구, 창업, 취직 모두 고려해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핵융합, 양자컴퓨터, 로봇설계, 초전도체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이 있다면 물리학과에서 이론적인 기초를 다지고 전자전기학과로 확장하는 루트가 좋습니다. 물리학은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 전자전기학과는 실용적 기술을 다루기 때문에 두 가지를 모두 아우를 수 있습니다. 물리학과 졸업 후 전자전기학과 대학원에 진학하면 연구 및 창업에 필요한 기술과 이론적 기반을 동시에 갖출 수 있어 유리합니다. 전자전기학과 졸업 후 물리학 대학원에 진학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기술적 문제 해결보다는 이론적 연구에 더 초점을 맞추게 되어 창업이나 취직에서는 실용적 기술이 중요한 경우 다소 불리할 수 있습니다. 연구와 창업을 고려하면 물리학과와 전자전기학과의 융합적 접근이 이상적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질문자님이 관심 있는 분야는 모두 미래 기술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연구, 창업, 취직 모두를 고려한다면 다음과 같은 경로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물리학과로 시작하여 전자전기 대학원으로 진학하는 루트를 추천드립니다. 물리학의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전자전기 분야에서의 응용 기술을 습득할 수 있어서, 각각의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핵융합과 초전도체 관련 연구에서 물리와 전기의 융합은 큰 장점이 될 것입니다. 또한, 전자전기 분야의 기술 기반은 양자컴퓨터나 로봇설계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어, 창업이나 취업 시장에서도 넓은 선택지를 가질 수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핵융합, 양자컴퓨터 로봇 설계 초전도체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이 있다면 물리학과 졸업 후 전자전기 대학원 진학이 가장 유리합니다. 물리학과는 이론적 기초와 다양한 과학적 원리를 다루기 때문에 핵융합이나 양자컴퓨터 연구에 강점을 가지며 이후 전자전기 대학원에서 응용과 기술 개발을 배우면 로봇 설계나 초전도체 같은 실질적 활용 분야로도 확장할 수 있습니다. 이 경로는 연구, 창업, 취직 모두에서 융합적 역량을 갖춘 인재로 성장하기에 적합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물리학과 졸업 후 전자전기대학원 진학도 가능한 옵션이지만, 초기 단계에서 더 넓은 선택의 폭을 제공하는

    전자전기공학 경로가 더 유리해 보입니다. 이 경로는 다양한 관심사를 탐구하면서도 실용적인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균형 잡힌 접근법을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