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조선후기 탕평책이 정확히 무엇이였나요

조선후기 영조시대 정조시대의 정책이였던 탕평책은 정확히 어떤 정책이 였나요 이 정책으로 붕당간의

갈등이 초래되었다고는 아는데 정확한 개념을 모르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탕평책(蕩平策)은 영, 정조 당시 붕당간의 대립을 완화하기 위해 왕이 중심이 되어 각 당파의 세력을 고르게 등요하고 균형을 맞추려 한 정책입니다. '탕평'이란 "치우침이 없는 공정한 정치"라는 뜻으로 <상서>의 "무편무당 왕도탕탕, 무당무편 왕도평평(無偏無黨 王道蕩蕩, 無黨無偏 王道平平)”에서 유래했습니다.

    이는 숙종 때 붕당 간의 극심한 대립으로 환국이 빈번했으며, 이로 인해 붕당간의 공존체제가 붕괴되고 국정이 혼란하자 영조와 정조 때 탕평정책을 추진 한 것입니다. 그러나 영정조의 탕평 정책은 강력한 왕권을 바탕으로 일시적으로 붕당간의 대립을 완환하였지만 붕당 정치의 본질적인 문제를 해결한 것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