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나라 경제가 언제 풀려 청년취업이 언제나 원활해질가요?
직원채용 모집공고엔 죄다 경력직'…구직 포기한 청년백수 '무려' 50만명을 넘었다고 합니다.
신규채용 모집공고가 거의 없는 사항이며, 어쩌다 나오는 모집공고도 경력직 모집입니다.
이는 회사에서 신입사원을 채용하여, 교육연수 실습시키는데, 비용도 많이 들고 어려움이 있기애, 바로 투입할 수 있는 경력직을 모집한다고 합니다.
15세에서 29세가지 청년백수들이 왜 취업을 못하는냐는 질문에는 적합한 일자리 부족이 가장 많았고, 교육·자기계발, 번아웃이 그 뒤를 이었으며, 그냥 대책없이 놀고 있다고 답변하였답니다. 도대체 이 나라의 경제상황이 언제 풀릴가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현 정부가 도박과 같은 경제정책을 했지요 될지 안 될지 모르는 외교 퍼 주기만 했는데 돌아오는 것은 많지가 않았습니다 이러한 일이 없다고 하더라도 대기업들은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하여 터무니없이 낮은 신구 고용률을 유지했고 대기업만 배부르는 구조이기 때문에 갈수록 망해 갈 수밖에 없더라고 보고 있습니다 그러니 유능한 사람이 나타나서 경제도 이끈다고 해도 소수의 대기업이 이끌어 가는 국가가 고용을 많이 늘리지 않는 이상은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적합한 일자리가 없어서 취직을 안 한다고 했는데 대학만 나와 가지고 편한 일만 찾고 하면 답이 없습니다 막노동이라도 해야지요 오히려 높은 진학률이 문제가 많다고 생각하고 10가지 일할게 있고 기분이 있고 배울 것이 있는데 우리나라처럼 의사만 가고 화이트칼라만 하려고 하는 거 자체가 문제라고 봅니다 세금 깎아 주고 투자 많이 하라고 했으면 다양한 분야의 대기업들이 투자를 해야 됩니다 하지만 본인들 배부를 것만 찾으니 일자리가 생길 일도 없고요 남들은 다 gpt님 뭐니 만들고 있는데 우리가 나가서 책이 시장에서 경쟁할 것은 무기가 별로 없습니다 그러니까 중소기업들을 장려해야겠지요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나라의 경제 상황이 풀리기 위해서는 우선 금리와 환율이 내려가서 안정이 되어야합니다. 그로 인한 기업 성장이 필요하고 채용 인원이 증가해야 합니다. 또한 산업 혁신을 통해서 성장하는 기업들이 많아져야 하는데 AI, 자율주행, 항공우주 산업 등에 기대해 볼수 있습니다. 취업 관련해서는 적체된 고령화 인원이 좀 줄어들면 현재 학생수가 감소했기 때문에 좀 더 쉬워질 가능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참 안타까운 현실인 것 같습니다. 현재 자영업자는 물론 대기업들도 인력 충원을 줄이고 경력직 위주로만 뽑고 있어 더더욱 양질의 일자리는 부족해지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한국의 경제상황이 크게 나아질거라고 보이지 않습니다.
앞으로 10년만 지나도 60대인구가 약 1,200만명 대략 1/4 규모로 확대될 것이며 이는 국가적으로 보았을 때 굉장히 경제성장률에 마이너스가 되는부분입니다.
반면에 출생률은 아시다시피 0.7명 수준으로 점차 줄어들고 있죠.
이것을 타파하기 위해 결국 난민이나 이민정책을 펼칠 것인데 이민자들은 결국 양질의 일자리비율보단 단순노동직이 많아질 것이라 60대 퇴직인구 노동과 겹쳐 갈등이 거세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점차 이런 흐름에서 크게 내려 앉는 상황까지 와야 반전이 올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경제가 언제 풀려서 청년 취업이 언제나 원활해지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쉽게도 현재 우리나라에는 소위 말하는 안정적이고 좋은 직업의 숫자가
점점 더 줄어들고 있고 앞으로는 AI와 로봇 등으로 인해서
더 줄어들 것이 예상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 청년층의 취업난이 심각하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습니다. 구인 공고를 보면 경력직을 우대하거나 신입을 아예 채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에게 큰 어려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기업들이 즉시 업무에 투입 가능한 인재를 선호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게다가 청년층의 구직 포기율이 높아지는 것도 이러한 취업 시장의 현실을 반영하는 것 같습니다. 경제 전문가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과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특히, 신입사원을 위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이나 인턴십 기회를 확대하여 경력 없이도 취업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경제상황이 침체기를 겪으며 말씀하신대로 청년 취업은 더더욱 현실의 벽에 막혀있습니다. 올한해 국내 정치상황과 미국 트럼프 대통령으로 인한 경제불확실성이 지속될 우려가 있어서 최소한 내년 상반기까지는 이런 어려움이 유지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