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호박이
호박이

해쉬관련 시스템유지에 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블록체인에 관심은 있지만 아는게 거의 없어 질문이 이상한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궁금한 것이 생겨 질문합니다.

채굴행위를 함에 있어 해쉬값을 통해 블럭이 형성되고 채굴자가 줄어들면 유지가 어려워진다고 들은 것 같은데 근거가있는 이야기인지에 대해 그리고 그것이 어떤원리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대니월드
      대니월드

      해쉬는 비트코인에서 블록체인 시스템을 강화하기 위하여 선택한 알고리즘 방식입니다.

      일반 중앙화 시스템에서는 중앙에서 시스템을 관리하고 유지합니다.

      그 중앙의 관리 및 운영에 의하여 시스템이 잘 관리되고 운영되는지가 결정됩니다.

      반면에 블록체인시스템, 개인 대 개인 네트워크시스템에서는 중앙관리가 없습니다.

      그래서 시스템을 잘 관리하고 운영하기 위해서 개인들간의 합의된 알고리즘 방식의 시스템이 있습니다.

      그것을 블록체인 시스템이라고 불러도 됩니다.

      이 블록체인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서 비트코인에서는 유지방식을 채굴에 의한 합의알고리즘을 사용했습니다.

      좀 더 쉽게 설명드리면, 신뢰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 어려운 암호를 푼 사람들(채굴한 사람들)의 협력에 의해서 시스템을 유지하게 되는거죠.

      그런데 이러한 채굴을 하는 사람들(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서 협력하는 사람들)이 없는 경우, 시스템은 신뢰를 보장할 수 없게 되는것입니다.

      물론 지금은 이미 신뢰하는 수준의 협력하는 사람들의 숫자를 넘어선 상태죠.

      비트코인과 유사한 방식으로 신규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서, 초창기 시스템이 안정화되기 전에 채굴자가 줄어들면 그 시스템은 유지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더 이상 신뢰할만한 시스템을 유지할 만한 기반이 사라졌기 때문이죠.

      비트코인 백서중에서 타임스탬프 서버(해쉬에 대한 구체적인 사용)에 대한 유튜브 강의안을 올립니다.

      https://youtu.be/p4FpM4fcK28

      비트코인 백서 타임스탬프 번역본. https://www.blockchainleader.kr/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