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Youangel
Youangel

무지개가 생기는 현상은 어떻게 되는것인지?

안녕하세요? 가끔씩 하늘을 보면 무지개가 생겨서 참 신기하다고 느껴졌는데요 무지개는 어떤 원리에 의해서 생기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똑똑한저어새12
      똑똑한저어새12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태양빛이 물방울에서 굴절과 반사를 반복하면서 7색으로 분산되어 나타나는 아름다운 자연 현상입니다. 빗방울이 프리즘 역할을 하여 빛을 분리하고, 각 색깔의 굴절 각도가 다르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무지개가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햇빛이 공기에서 물방울로 들어가면서 빛이 굴절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빛이 파장에 따라 서로 다른 각도로 굴절을 하게 하죠. 빛은 다양한 색깔의 스펙트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물방울 내부에서 굴절된 빛이 물방울의 뒤쪽 표면에 도달하면서 다시 반사시키는데 이 반사되는 과정에서 빛은 물방울 내부에서 경로를 바꾸게하지요. 반사된 빛이 물방울을 빠져나오면서 다시 한번 굴절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빛은 처음과 반대 방향으로 굴절되며 각각의 색깔이 서로 다른 각도로 분산하게 합니다. 최종적으로는 굴절된 빛이 물방울을 빠져나오면서 다양한 색깔로 분산되게 되는데 우리가 보게 되는 무지개가 이렇게 형성되는것이죠! 따라서 무지개가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햇빛이 필요하며 대기중에 떠있는 물방울 그리고 관측자가 태양을 등지고 있어야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태양 빛이 빗방울이나 물방울과 상호 작용하여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먼저, 태양광은 백색 빛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대기 중에 있는 물방울이나 빗방울과 상호 작용하면서 분산됩니다. 이 과정에서 빛의 색상이 굴절되고 분리됩니다.

      무지개의 발생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굴절: 태양 빛은 물방울이나 빗방울에 닿으면 굴절되어 색상이 분리됩니다. 빨간색은 다른 색상보다 굴절률이 더 크기 때문에 물방울 내부를 통과할 때 더 큰 각도로 굴절됩니다.

      2. 반사: 굴절된 빛은 물방울 내부에서 반사되어 다시 외부로 나옵니다.

      3. 굴절과 반사의 조합: 다양한 색상의 빛이 반사되고 굴절되는 과정에서 무지개가 형성됩니다. 빨간색이 가장 큰 각도로 굴절되고, 그 다음으로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남색, 보라색 순으로 굴절되기 때문에 무지개는 일반적으로 빨간색에서 보라색까지의 색상 스펙트럼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광학적 현상으로 인해 물방울이나 빗방울이 존재하는 지역에서 태양 빛이 반사되고 굴절되어 무지개가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