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유역에서 수질오염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우리나라의 강들은 여러곳이 있는데요. 그중에서도 최근 5년간 전체 수질오염사고는 낙동강유역에서 수질오염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낙동강 유역은 인구와 산업 시설이 밀집된 지역을 포함하고 있어 생활하수 및 산업 폐수 배출량이 많습니다. 또한, 넓은 농업 지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 유입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강 주변의 발달된 교통망은 운송 관련 사고 위험을 내포하며, 노후된 하수처리 시설 등의 인프라 문제도 사고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입니다. 여기에 집중 호우나 가뭄과 같은 자연적 요인이 더해지면서, 이러한 복합적인 원인들이 작용하여 낙동강 유역에서 수질오염 사고가 자주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낙동강 근처에 도시와 공장이 다른 강들보다 많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근처에 경상남북도에 다양한 대기업의 공장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근처에 역시나 대구, 부산 과 같은 대도시가 존재하므로 여기서 만들어내는 다양한 오폐수들이 낙동강을 오염시키고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낙동강의 중.상류 지역에서 대규 산업단지와 도시가 밀집해 있습니다.
이에 따른 생활하수와 공장 폐수가 유입되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낙동강은 과거 1990년 부터 지금까지 유해 물질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지역으로 나타납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낙동강 유역에는 대구, 부산, 울산 등 주요 산업 도시들이 위치해 있습니다. 이들 지역은 공장과 산업
시설이 밀집해 있어 폐수나 오염물질이 강으로 유입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화학 공장, 제철소,
석유화학 단지 등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수질 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또한 낙동강 유역은 농업이 활발한 지역으로 농약과 화학비료가 과다하게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 화학물질이 비나 물의 흐름에 의해 강으로 유입되면 수질 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