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조선이 갑오개혁을 2차례에 걸쳐서 실시한 배경이 뭘까요?
원래 조선은 서구의 문물을 배척하는 폐쇄적인 시스템을 추구하였는데요. 갑오개혁을 2차례나 하면서 개혁으로 방향을 바꾼 계기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조선이 갑오개혁을 2차례에 걸쳐서 한 배경은 근대적 국가로 나아가기 위함이었는데, 일본의 메이지 유신과 같은 개혁이 아닌 청나라 양무운동과 비슷한 느낌의 개혁이었다는 점에서 한계점이 존재했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조선이 갑오개혁을 추진한 배경은 우선 개화 관료 및 지식인들이 개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비록 1884년 갑신정변이 실패하였지만 꾸준히 본격적인 개화정책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자 동학군과 폐정을 약속하여 교정청을 설치하여 개혁을 추진하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일제가 경복궁을 무력으로 점령하고 조선의 내정을 간섭하며 군국기무처를 설치하여 근대적 개혁을 요구하였습니다.
그러나 일제는 청일전쟁으로 적극적인 간섭이 불가능하였으며, 조선의 개화 관료들이 1차 개혁을 추진하였습니다. 하지만 청일전쟁에서 일본이 전황이 유리하자 본격적인 간섭을 위해 군국기무처를 폐지하고 친일 관료인 박영효를 내부 대신으로 간섭하며 2차 개혁을 추진하였습니다.
청일 전쟁 이후 일본이 시모노세키조약으로 한반도에 대한 실권을 장악하자 조선은 러시아를 끌어들여 친러 내각을 구성합니다. 하지만 일제는 1895년 8월 을미사변을 일으켜 또 다시 친일내각을 구성하여 급진적인 개혁을 추진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