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

무지개의 원래 모양은 원모양이 맞는건가요?

인터넷을 보던중 우연히 무지개의 원래모양이라며 아주 동그란 무지개사진이 올라와있는걸 본적이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보던 무지개는 원모양이아닌 반원모양의 생김새였는데 정밀로 무지개의 원래 모양이 원모양이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초록가젤281
      초록가젤281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원모양이 맞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무지개는 사실 수 많은 색깔의 둥근 띠가 뭉친 구 모양이라는 말입니다. 일곱색깔이 뭉친 둥근 띠 모양이 무지개의 본 모습으로 알고 있지만 실제로는 그보다 더 많은 무수히 많은 색깔의 둥근 띠 모양이 뭉쳐 구가 된 것이지요.

      무지개의 색깔을 일곱색깔로 구분한 사람은 뉴턴입니다. 그러나 대표적으로 드러난 색깔이 일곱개 일뿐 프리즘에 통과시켜 구분할 수 있는 색깔의 종류만 207색이라고 합니다. 그렇게 수 많은 색깔의 둥근 띠들이 뭉쳐있는 구가 무지개인 것입니다.

      그렇다면 무지개가 반원 모양이거나 부채꼴 모양으로 보이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요? 무지개의 나머지 부분은 지표면이 가리고 있어서입니다. 물방울들이 공중에만 있기 때문에 땅에서 무지개를 보면 시야가 가릴 수밖에 없지요. 구 모양이지만 우리가 바라보는 방향은 한 면이기 때문에 평면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 일반적으로 보는 무지개는 반원모양으로 생겨난다. 이는 빛이 빛살에서 빛줄기로 들어가면 빛이 빛살에서 나갈 때 각색되어 나오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무지개가 동그란 모양으로 생겨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지개를 둘러싼 원형의 구름이 있는 경우, 빛이 구름 안에서 여러 번 반사되기 때문에 무지개가 원형으로 생기기도 한다. 또한 무지개가 완전한 원으로 보이는 경우에는 항상 땅에서 바라보는 시점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무지개는 반원모양이지만, 특정한 조건에서는 원형으로도 보일 수 있다.

    •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게는 물방울이 빛을 분산시켜 7가지의 색이 나타납니다 색의 파장이 달라서 파장이 긴 빨간색이 가장큰 활 꼴로 보여요 지구밖에 나가서 비행기를 타고 무지게를 본다면 원으로 보이겠지요 무지게를 인공적으로 실험실에서 원으로 만들수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