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전기·전자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

고온 초전도체는 무엇을 말하는 건가요?

저온 초전도체는 수은에서 발견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고온 초전도체는 처음 들어보는데 이건 어디에서 발견된 건가요?

얼마나 고온에서 초전도 현상이 일어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고운푸들16
    고운푸들16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온 초전도체는 전통적인 초전도체 이론인 BCS이론을 따르지 않는 30K, 즉 영하 243도 이상의 온도에서도 초전도성을 보이는 물체를 말합니다. 최초의 고온 초전도체는 구리산화물계열이었으며, 2008년에는 철산화물계열의 고온초전도체가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1986년 '요하네스 게오르크 베드노르츠'와 '카를 알렉산더 뮐러'는 란타넘 구리계 페롭스카이트 물질에서 초전도를 발견하였으며 그 임계 온도는 35K였으며, 이 연구로 1987년 노벨상을 수상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온 초전도체는 전통적인 초전도체 이론인 BCS이론(BCS 이론은 초전도 현상의 원리를 양자역학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이론이다. 저온 초전도체의 성질은 그럴듯하게 설명할 수 있었으나, 고온 초전도체(30K 이상에서 초전도성이 나타나는 물질)를 설명하지 못한다.)을 따르지 않는 흔히 30 K(캘빈 온도, 영하 243도) 이상의 온도에서도 초전도성을 보이는 물체를 말한다. 최초의 고온 초전도체는 구리산화물계열이었고 2008년에는 철산화물계열의 고온초전도체가 발견되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출처 : 위키백과 - 고온 초전도체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온 초전도체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도 초전도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말합니다. 초전도는 일정 온도 이하에서 전기 저항이 완전히 사라지는 현상을 말하며, 이를 특히 0켈빈(-273.15도) 이하의 온도에서 나타나는 저온 초전도체와 구별하기 위해 고온 초전도체라고 부릅니다.

    고온 초전도체는 높은 온도에서도 상대적으로 낮은 전기 저항을 가지며, 이는 전기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속성으로 인해 고온 초전도체는 전력 전달, 자기 공명 이미징, 자기 부동열 및 고속 전선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고온 초전도체로는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철-비스무트계나 구리-산화물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고온 초전도체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도 초전도 특성을 나타내며, 연구와 기술의 발전으로 더 많은 고온 초전도체가 발견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온초전체(high-Tc 또는 HTS)는 전통적인 초전도체 이론인 BCS이론을 따르지 않는 흔히 30K(캘빈 온도, 영하 243도) 이상의 온도에서도 초전도성을 보이는 물체를 말합니다. 최초의 고온 초전도체는 구리산화물계열이었고 2008년에는 철산화물계열의 고온초전도체가 발견되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