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파킹형 ETF에 YTM은 뭔가요?

일반적으로 ETF는 만기가 없는 것으로 알며 계속 자산을 편입할 것입니다. 그런데 단기자금을 보관하는 파킹형 ETF는 YTM을 내세우며 홍보하던데 여기서 YTM은 어떻게 나오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YTM이라고 하는 것은 'yield-to-maturity'의 약자로서 우리말로는 채권의 만기수익률을 의미하는 단어에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YTM이란 보통 Yield to maturity의 줄임말로

      만기수익율을 말하니 참고하세요.

      보통 1년단위의 예상수익율을 계산하게 될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만기수익률로 보유기간이 만료가 되는 경우의 채권수익률을 말하며 신문지상에 발표되는 발행수익률, 유통수익률은 모두 만기수익률로 표시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파킹형 ETF도 자산을 구성할 때 만기가 있는 자산을 포함시키기 때문에 YTM을 근거로

        수익률을 산정하게 됩니다

      • YTM이 있어도 파킹형 ETF는 또 다시 다른 상품을 매입하여 해당 수익률을 맞추게 되는 구조로 흘러갑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파킹형 ETF에 YTM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YTM 이란 Yield to Maturity 의 약자로 이는 만기 기대 수익률을 의미하게 됩니다.

      YTM 구하는 공식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연간 이자수익에다가 연간자본수익을 잔존년수로 나눈 것을 더하고

      이 더한 값을 채권의 평균 가격으로 나누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ETF의 YTM(수익률)은 해당 ETF가 보유하고 있는 채권의 이자수익률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파킹형 ETF는 단기 채권이나 현금성 자산에 투자하여 안정적인 운용을 지향하는 ETF를 말합니다. 이러한 ETF는 YTM을 내세워 홍보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해당 ETF가 보유한 채권의 이자수익률을 기반으로 한 예상 수익률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