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질문충
질문충

하늘은 왜 파란색이고 구름은 왜 흰색인가요?

안녕하십니까 전문가님! 무심코 하늘을 보면 하늘은 파랗고 구름은 하얀데 일단 저가 아는 상식은 빛의 산란때문이라는건 알지만 왜 파랗고 왜 하얀지 몰라서 전문가님들께 이렇게 질문을 남깁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에서 날아오는 태양빛은 공기분자와 부딪혀 이리저리 산란됩니다.
      산란되어 남은 파란색이 우리는에 잘 보이는것입니다.

      구름은 우리가 물을끓이면 수증가기 하얗게 나오는것과 비슷하게
      증발되어 올라간 물분자들이 차가운 공기나 응결핵등을 만나 물방울이나 얼음조각이 되어
      하얗게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지구의 대기를 구성하는 산소와 질소가 태양빛과 부딪칠 때,여러 빛으로 분산됩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이 분산된 빛 중, 파란색이나 보라색 빛이 훨씬 많이 퍼지기 때문입니다.
      구름이 하얀 이유는 미(Mie) 산란 때문입니다.

      산란된 빛의 파장이 도드라지지 않아 하얗게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공기(기체)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 될 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데, 이렇게 짧은 파장의 빛이 하늘에서 산란 되다가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

      구름은 수증기와 물 분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작은 물분자부터 큰 물분자까지 다양한 크기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크기의 입자가 존재하면 특정 파장의 빛만 산란 되지 않고 모든 파장 영역대의 빛이 산란할 수 있습니다. 빨간색 빛, 노란색 빛, 초록색 빛, 파란색 빛 등 모든 빛이 구름내에 존재하는 물 분자로부터 산란이 가능하죠. 모든 색의 빛이 산란되고 빛의 합성으로 인해 하얀색 빛으로 우리눈에 들어오게 되어 구름이 하얗게 보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에 들어온 빛이 눈에 보이는 파장이 짧은 파란색이 많은 산란을 하기때문에 우리눈에 파랗게 보이는것입니다

      구름의 물방울은 당연히 액체가 되며 매우 투명합니다. 투명하므로 모든 빛이 통과하게 되나 빛이 들어가는 각도에 따라 다시 되돌아 나오게 되는 전반사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전반사 현상에 의해 모든 파장의 빛이 동일하게 되돌아 나오므로 우리 눈에는 흰색으로 보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