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23.03.08

바둑은 언제 어디에서 시작됐나요?

예로부터 바둑은 전쟁의 축소판이라 불리며 전략을 사용하는 놀이의 대명사였습니다. 지금까지도 하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아는데 언제 어디에서 시작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바둑의 기원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고대 중국의 요·순 임금이 어리석은 아들 단주와 상균을 깨우치기 위해 만들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티벳기원설도 크다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기원의 안내에 따르면 다음의 내용이 존재합니다.

    바둑의 유래는 대부분 고대의 전설에 의존하는 형편이며, 사실(史實)이 기록된 문헌도 드물다고 합니다.

    그러한 가운데 지금까지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고대 중국의 요(堯)·순(舜) 임금이 어리석은 아들 단주(丹朱)와 상균(商均)을 깨우치기 위해 만들었다는설이 가장 유력하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바둑의 유래는 대부분 고대의 전설에 의존하는 형편이며, 사실(史實)이 기록된 문헌도 드물다. 그러한 가운데 지금까지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약 4300년 전 , 중국인들이 가장 이상적인 시대라고 생각하는 중국의 요(堯)·순(舜) 임금이 어리석은 아들 단주(丹朱)와 상균(商均)을 깨우치기 위해 만들었다는 설이 존재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현재 바둑판에는 가로세로 19개씩의 선이 있지만 초창기에는 11줄~16줄인때도 있었으며 역사적으로 그 발원을 명확히 알수 없고 특히 중국에서는 지역마다 굉장히 다양하게 되어있어 처음에 몇줄이었는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바둑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지만 중국 고대에 요 임금이 망나니였던 자신의 아들의 수양을 시키기 위해 만들었다는 설이있습니다.

    요임근은 신화적인 성격이 강해 실존인물인지 의심스러우나 적어도 춘추시대에 바둑이 존재하는 것은 확실하며 가장 유력한 추측은 상나라 중기~주나라 초기 시절 이미 원시적인 바둑이 나왔다는 것으로 사마천의 사기나 춘추시대 관련 기록을 보면 늦어도 주나라 초기시절에 바둑이 존재했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바둑의 기원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고대중국 전설상의 제왕인

    3황5제 때에 만들어졌다는

    이야기가 있다.

    5세기~7세기 사이에 삼국시대에

    소개되었으며, 순장바둑이라는 형태로, 1950년대 현대바둑이 유행하기

    전까지 성행하였다.

    시대적 흐름에 따라 자유 포석제 규칙의 바둑이 도입되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바둑은 중국에서 발생한 전략 보드 게임으로, "바"는 '검정색'을, "둑"은 '흰색'을 뜻합니다. 바둑은 중국에서는 "위우지"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4,000년 전부터 존재하던 놀이를 바탕으로 하여 발전되었습니다.

    바둑이 전 세계로 퍼지기 시작한 것은, 6세기 경에 중국에 살았던 불교 수도사들이 인도에서 가져온 천태보살 그림에 바둑판 무늬가 있었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를 계기로 바둑은 일본, 한국, 그리고 나아가 동아시아 지역에서 인기 있는 전략 보드 게임이 되었습니다.

    한국에서 바둑은 고구려 시대부터 전해져 온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시대에는 경전들의 증보나 엮음을 위해 흔히 바둑이 사용되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양반들이 바둑을 좋아하였고, 궁중에서도 바둑이 흔하게 즐겨졌습니다. 조선 후기에는 일반 백성들 사이에서도 인기를 끌었고, 지금까지도 한국에서는 매우 인기 있는 전통적인 게임 중 하나입니다.

    바둑의 인기는 전 세계로 확대되어, 현재는 세계 각국에서 대회가 열리고 있으며, 전문적인 바둑 선수들이 많이 존재합니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컴퓨터와 인간의 대결에서도 바둑 선수들이 패배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