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가 오는것도 아닌데 바람이 세게 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요즘 여름이라 비가 자주오는데요. 비가 오기전에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인해 강한 바람이 불잖아요.. 그런데 구름 한 점 없는 맑은 날씨에도 바람이 강하게 혹은 시원하게 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그렇게 바람이 부는 과학적인 원리를 알고 싶습니다.
상세하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바람 즉 공기의 흐름은 기압배치와 지구상의 위치에 따라 달라집니다. 평행한 태양 빛이 쪼여도 지구는 둥글고 표면 상태가 같지 않기 때문에, 불균등 가열이 일어나 지역에 따라 온도가 달라집니다. 예를 들면 그 지역의 위도가 낮은가 높은가, 육지인가 바다인가, 숲인가 사막인가 등에 따라 온도가 달라지면서 공기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공기압력 분포가 달라집니다.
공기는 유체이므로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데, 이때 지구의 자전으로 인한 전향력 때문에 바람의 방향이 바뀌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바람의 세기는 기압경도력(단위거리당 압력차)에 따라 달라지므로, 열대성 저기압인 태풍이나 한랭기단과 온난기단이 만드는 전선의 경계 부근에서 강한 바람이 불고 비가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고기압이 발달하여 날씨가 맑은 상태에서도 강한 하강 기류가 발생하면 겨울철의 찬바람처럼 강한 바람이 불기도 합니다. 따라서 바람이 분다고 해서 비가 오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바람은 단지 기압배치에 따라 움직이는 공기의 흐름일 뿐이고, 비는 수증기의 공급과 공기의 냉각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일 뿐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바람은 기압의 차이에 의해서 나타나게 되는데 지표면의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기압차이가 발생하게 된다면 고기압지역에서 저기압 지역으로 공기가 이동하게 되면서 바람이 생기게 되는것이죠! 이는 산맥이나 계곡, 해안선 등의 지형적인 요인도 바람의 강도와 방향에 영향을 주게 하며 바람이 집중되거나 속도를 증가하게 할수 있습니다! 또한 대규모의 대기 순환이 바람을 발생시키게 되며 지구가 자전하면서 대기의 순환을 만들게 되면 고기압과 저기압을 형성하며 바람을 만들어 내게 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지표면의 강한 온도차이가 발생하게 되면 바람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하고 뜨거운 공기가 상승하고 차가운 공기는 하강시키게 되면서 강한 바람을 만들어 내게 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