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rogermaan
rogermaan23.05.23

1926년 6.10 만세운동의 주장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1926년 일제시대의 6.10 만세운동이 발발 하였는데요.이 운동이 주장하는 내용은 무엇이었으며 발생 원인은 무엇이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3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26년 6월 10일에 일어난 대규모 만세 시위로, 이병립 · 박하균 · 박두종 · 이선호 등이 주축이 되었다. 6월 10일은 대한 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의 장례식이 거행되는 날이었다. 그들은 이날 많은 사람들이 장례 행렬을 보기 위해 모일 것이라 예상하고 만세 운동을 계획했다. 이 계획을 감지한 일제도 군사 5천 명을 동원해 만반의 준비를 갖추었다. 하지만 만세 운동은 시작되어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비록 계획이 사전에 발각되었기 때문에 그 규모는 3 · 1 운동에 미치지 못했지만, 이것을 필두로 1929년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이 일어나게 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6 · 10 만세 운동 [-萬歲運動] (Basic 중학생을 위한 국사 용어사전, 2006. 11. 15., 이은석)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26년 6월 10일 순종의 장례일을 기해 만세시위로 일어난 학생중심의 민족독립운동입니다.

    1919년 3.1운동의 소용돌이 속에 해외 각지에서 움텄던 독립운동도 미국이나 서구열강의 원조가 소극적이고 일제의 교묘한 술책과 탄압에 점차 힘을 잃어가고 있었고,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상하이에 모인 청년정객들의 이상주의에 불과해 처음부터 많은 분란과 오해의 요인을 안고 수립된 망명정부였습니다.

    1921년 레닌정부에서 보내온 독립원조자금문제와 1925년 이승만 대통령 면직결의 등의 문제가 불거져 나오면서 결정적으로 난파상태에 빠져들었습니다.

    만주의 무장독립투쟁도 1920년 청산리대첩으로 절정을 이룬 뒤 일제의 대토벌로 인해 러시아방면으로 밀렸다가 1921년 자유시참변으로 큰 타격을 입었으며 해외 독립운동은 1922년 고비로 부진하기 시작합니다.

    당시 국내에서 1920년부터 활발히 전개된 실력양성운동에 의해 민립대학설립운동이나 물산장려운동 등이 추진되지만 일제의 문화정치라는 양단정책에 밀려 1925년 이후 좌절되면서 부진하게 됩니다.

    국내외 기성세대들의 민족운동이 침체되는 상황에서 1920년대 민족운동의 활력소는 학생운동이었고 이전 분산적이고 비조직적인 맹휴의 성격에서 벗어나 학생층 전체를 망라한 계획적이며 조직적인 항일학생운동으로 발현된 것이 6.10만세운동입니다.

    제위에 오른 지 4년 만인 1910년 일본에게 나라를 빼앗긴 뒤 자조와 실의 속에 살다 1926년 4월 26일 죽은 대한제국의 황제 순종에 대한 전국민의 애도는 국가 없는 민족의 설움을 대변해주는 것이기도 했습니다.

    6.10 만제운동은 학생들에 의해 독자적으로 계획, 추진된 운동으로 3.1운동 이후 꾸준히 다져온 학생들의 결사, 동맹휴학, 계몽활동 등의 학생운동이 결집된 소산으로 나타난 항일운동이었고 침체된 민족운동에 새로운 활기를 안겨주었고 3.1운동과 1929년 광주학생운동의 교량적 구실을 담당하여 꺼지지 않는 민족 독립운동의 하나의 큰 횃불이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26년 6.10 만세운동은 일제시대에 발생한 대규모 민중운동으로, 독립과 자주, 민주와 인권을 주장하여 일제의 식민지 지배에 대항하

    고 한국의 주권과 자유를 요구했습니다. 이 운동은 압제적인 일제 식민 지배와 사회 불평등, 경제 억압 등을 원인으로 발발하였으나 일

    본 당국의 탄압과 압력으로 인해 진행이 어렵고 큰 성과를 이끌어내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독립운동과 민주화 운동의 시초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