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기독교와 가톨릭계의 에서 공의회 방식에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요?
공의회라 함은
교회 내에서
신학적인 문제나 중요한 교회정책 및 교리, 규율 등의 문제들을
결정하기 위해
교회측 지도자들이 모여서 열리는 공식적 회의를 말하는데요
라틴어 콘칠리움( Concilium ) 에서 유래한 걸로 나타납니다.
소집하다 내지는 불러모으다 란 의미이며
결국 신앙관점의 문제점에 대해 여러 교회의 의견을 수렴해서 의견일치된 결정을 수행하는 절차라 볼 수있습니다.
그렇다면
교회라 하더라도
기존의 카톨릭 에서의 방식이 있을 것이고
후대에 생긴 개신교 에서의 방식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둘의 공의회 방식에는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가톨릭의 공의회는 오직 교황만이 소집권을 가지며, 전세계 주교가 참여합니다. 교황과 주교단의 결정은 교리적으로 오류가 없다고 여깁니다. 교황이 최종 승인하며 엄격한 절차를 거칩니다. 주로 교리, 규율, 교회 전체 정책, 신앙 일치 등을 결정합니다.
반면 개신교의 공의회는 각 교단의 지도부가 자체적으로 수집하며 교단 대표, 목회자 평신도 대표가 참여합니다. 교단 내에서만 효력이 있으며, 신학적 논의, 교단 정책, 사회적 입장 등을 결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