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용어 중에 리액턴스, 인덕턴스, 임피던스, 컨덕턴스 이 단어들의 차이점이 무엇인지요?
전기 용어 중에 리액턴스, 인덕턴스, 임피던스, 컨덕턴스 이 단어들의 차이점이 무엇인지요? 익숙하지 않은 용어이다 보니 너무 헷갈리고, 어떤 뜻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리액턴스는 교류 회로에서 전류와 전압 사이의 위상차를 발생시키는 성분으로, 인덕턴스와 정전 용량의 영향을 받습니다. 인덕턴스는 자기장에서 에너지를 저장하는 능력을 나타내며, 코일이나 유도체의 성질입니다. 임피던스는 교류 회로에서의 전체 저항을 의미하며, 저항과 리액턴스를 벡터 합성한 값입니다. 컨덕턴스는 전기 전도도, 즉 전기 전류를 얼마나 잘 흐르게 하는지를 나타내며 저항의 역수입니다. 각각의 용어가 회로 내에서 다른 성질과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리액턴스는 교류 회로에서 전류와 전압의 위상 차이를 만드는 성분을 의미하고, 인덕턴스는 코일이 자기장을 형성하여 전류의 변화를 저항하는 성질을 나타냅니다. 임피던스는 저항과 리액턴스를 합친 값으로, 전체 교류 회로의 전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마지막으로 컨덕턴스는 저항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전도체가 전류를 얼마나 잘 흐르게 하는지를 나타내며 저항의 역수로 정의됩니다. 이렇게 각각의 용어는 회로의 전류 및 전압 특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위 단어들의 경우 전기전자회로를 이해하기 위해 중요한 단어들 입니다. 간단히 설명을 드리면,
리액턴스 : 교류 회로에서 저항 성분으로 인덕터와 커패시터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
인덕턴스 : 전압 유도 능력으로 인덕터에 대한 전류 변화에 반응하여 전압을 유도하는 특성
임피던스 : 교류 회로에서 전류으 흐름을 방해하는 전체 저항으로 저항+리액턴스를 포함함
컨덕턴스 : 전기 회로에서 전류의 흐름에 대한 허용치로, 저항의 역수 값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리액턴스는 교류 회로에서 주파수에 따라 변하는 가상의 저항으로 커패시터는 용량 리액턴스 인덕터는 유도 리액턴스를 가집니다. 인덕턴스는 코일의 자기장 세기를 나타내며 헨리 단위로 측정됩니다. 임피던스는 교류 회로에서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를 고려한 전기적 저항으로 리액턴스와 저항의 벡터 합으로 계산됩니다. 컨덕턴스는 전류 흐름의 용이성을 나타내며 시멘스 단위로 측정되며 임피던스의 역수로 계산됩니다.
쉽게 말해 리액턴스는 교류 회로의 가상 저항 인덕턴스는 코일의 자기장 세기 임피던스는 교류 회로의 전기적 저항 컨덕턴스는 전류 흐름의 용이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