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두루미123
두루미12323.04.17

여러 빛이 합쳐지면 왜 백광색(흰색)이 되나요?

태양빛은 빨주노초파남보 다양한 파장의 빛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왜 이렇게 빛이 합쳐지게 되면 하얀색으로 보이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파장이 겹치면서 더 큰 파장으로 증폭되서 그럴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산란에 의해 발생합니다. 산란이란 빛이 물체와 상호작용하여 일정한 각도로 흩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빛이 물체와 만나면 물체의 표면에서 흩어져 나가는데, 이 때 빛의 파장이 어떤 물체의 표면에서 산란되면서 모든 색깔이 골고루 섞이게 되어 백색광이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러 가지 색의 빛이 합쳐지면 백색광(흰색)이 되는 이유는, 백색광은 모든 색의 빛이 균등하게 섞여 있기 때문입니다.

    빛은 전자기파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색은 전자기파의 파장에 따라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은 길고 파란색은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빨간색 빛과 파란색 빛이 서로 합쳐지면, 보라색 근처의 색이 만들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삼원색은 빨강(Red), 초록(Green), 파랑(Blue)입니다. 이들을 모두 혼합하면 흰색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사실 여러 빛이 합쳐지며 하얗게 인식하게 된 것이고, 백색보다는 투명하고 밝은색으로 보인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은 반사를 통해서 해당 색상으로 보이게 됩니다. 모든 빛을 흡수하면 검은색으로 보이면 반대로 모든 빛을 반사하게 되면 백색으로 보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