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23.02.13

지구상에 발견된 바이러스는 모두 유해한 것인가요?

감기 외 코로나등 인류에게 엄청난 피해와 고통을 준 바이러스로 알려져 있는데...

지구상에 있는 바이러스는 모두 인간에게 피해만 주는 백해무익한 바이러스 뿐인가요?

곰팡이도 유익균이 있는 것처럼 바이러스도 인간에게 이롭게 해주는 바이러스는 없나요?

있다면...대표적인게 어떤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의 기원에 대한 설 중에서 (숙주) 생물의 DNA 일부가 떨어져나가 생겨났다는 설이 있습니다.

    생물에게서 생겨나서 그 생물을 숙주로 삼고, 생물 안에서 복제를 하는 덩어리가 된 것이죠.

    바이러스의 이점에 대해 물으신다면, 한가지 답으로 쓸 만한 것이 있습니다.

    바이러스 중에는 세균을 감염시켜 파괴하는 것이 많습니다.

    바이러스는 세균의 수를 조절하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바이러스는 결코 숙주를 멸종시키는 일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숙주가 멸종되면 그 숙주의 DNA일부를 가지는 바이러스도 증식할 길이 없어서

    멸종되기 때문이죠.

    바이러스는 숙주의 수를 조절할 뿐이지, 숙주를 전부 죽이지는 않습니다.

    사람 바이러스의 경우에도 치사량이 아주 높은 바이러스는 사람을 빨리 죽이지만, 결코 넓게 번식하지 못하고 맙니다. 사람을 빨리 죽이니까 다른 개체를 감염시킬 여유도 없는 것이죠.

    많은 바이러스는 숙주안에 잠복하거나 숙주와 공존하며 존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유익한 바이러스와 바이러스 특성을 이용한 것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암세포만을 타겟하여 침투하는 바이러스안에 항암제나 dna형태의 공격분자를 탑재하여 체내에 유입시키면 암세포만을 타겟하여 죽이는 항암제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병증이약하거나 지속적으로 돌연변이가 생겨 체내에서 유지되는 바이러스들은 몸속 면역체계에대한 학습효과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