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달과 해사이에 방황하는 토끼
달과 해사이에 방황하는 토끼

일부일처제도가 가장 합리적인 결혼 제도인가요?

일부일처제도가 가장 합리적인 결혼 제도 같기도하고 또 어떨때는 굉장히 불합리한 제도인것도 같네요. 더 합리적인 제도나 방안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결혼 제도는 각 사회의 문화와 가치관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어떤 것이 가장 합리적인지 판단하는 것은 주관적인 문제입니다. 따라서 각자의 상황과 가치관에 맞는 선택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부일처제도는 두 사람 간의 상호 존중과 사랑, 신뢰를 바탕으로 하며 법적으로도 보호되는 안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가족 구성원들 간의 유대감을 강화하고 사회적으로도 인정받는 문화를 만들어 나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부일처제, 일부다처제 등

      이는 각 나라의 상황과 환경에 따라서 다른 것으로

      무엇이 가장 합리적이라고는 볼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부 다처제는 물론 서로를 속박 하고 구속 하는 것 같은 느낌을 서로에게 줄 수 있습니다. 물론 그래서 일부 다처제를 시행 하고 있는 소수의 나라들 예를 들어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리비아, 요르단, 모로코, 레바논, 이집트 등의 무슬림 국가들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는 아주 소수에 불구하고 더군다나 이러한 나라들에서 조차 돈이 많은 사람들에게나 해당 하는 관습입니다. 이것은 종교적으로 여자를 차별 하는 남성 우월주의 등에 해당 한다고 볼 수 있으며 현재의 선진국들은 결혼 제도를 통해 일부 일처제를 대부분 수용 하는 것 입니다. 앞으로 가면 갈수록 저출산 문제가 심각 하게 대두 될텐데 그렇다면 일부 일처제와 일부 다처제를 혼합한 무부 무처제 , 즉 한가정에 남편도 없고 아내도 없는 , 즉 아무하고나 같이 동거도 하고 계약 결혼을 하는 시대가 올 수도 있을 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과연 그것이 국가 적으로나 개인적으로나 좋은 것 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회구조나 전통에 따라 일부일처제 일부다처제 일처다부제 등 다양한 제도가 존재한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에 어떤 제도가 좋고 나쁨의 문제가 아니라 체제에 맞냐 맞지않느냐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몽고족과 같은 유목민들은 근친혼으로 각종 질병에 노출돤 것 때문에 자신들의 아내를 이방인들에게 내어주는 풍습이 생기게 돠었고 티베트는 종족번식을 위하여 일부다처제를 택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선진국들을 비롯한 문명국가에서는 일부일처제를 택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