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진실한낙타288
진실한낙타288

미국과 관세율이 15%로 타결된거면 잘 된건가요?

우리나라가 협상카드로 미국에 내건 조건들이 일본이나 유럽연합에 비해서 많은것을 준것 같은데 15%로 좀 아쉬운게 아닌가 싶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추억의발라드
    추억의발라드

    관세율 15%로 타결된 건 어느 정도 성과는 있지만, 아쉬운 점도 있어요.

    우리나라가 일본이나 유럽연합에 비해 많은 조건을 내줬다면

    더 낮은 관세율이나 혜택을 기대했을 수도 있겠죠.

    결국 협상은 서로 양보하는 거라서 완벽하진 않지만,

    지금 상황에서는 일단 타협점을 찾은 게 중요하다고 봐요.

    앞으로 더 좋은 조건을 위해 계속 협상하는 것도 필요하겠고요.

  • 질문에 답변을 드리자면 저도 질문자님처럼 아쉬움이 남아 있습니다 미국이 관세를 높게 한후 깎아주는 식으로 했던것도 있고 방산에 대해 알려줘야 하는것도 있고 그나마 대기업 임원분들이 협상에 많은 기어를 한거 같네요

  • EU나 일본과 차이나지 않는 수준입니다.

    트럼프가 15%에서 깎아 줄 일은 없으니까요.

    잘되고 안되고는 세부 조건 등이 발표되고 나서야 평가할 수 있을 것이고 의견은 분분하겠죠.

  • 안녕하세요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트럼프는 15% 관세를 생각하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처음에 25%를 이야기 해 놓고 선심 쓰는 척 하면서 최대한 미국에 유리한 쪽으로 협상을 하려고 했던 거죠.

    일본, 유럽 전부다 15% 관세인거 보면 알 수 있습니다.

    트럼프는 정치를 하기 이전에 사업가 이자 협상에 능한 사람입니다.

    무관세는 무리였겠지만, 15%를 얻었다고 좋아할 것도 없을 것 같습니다.

  • 미국에 3500억 달러를 투자하는 조건등을 포함하여 상호관세를 15%로 낮춘거라 하는데 질문자님 말씀대로라면 우리가 너무 많이 내준감이있네요.

    하지만 아셔야될게 트럼프가 생각하는 가장 이상적인 협상이 미국이 주도권을 잡는 우방이고뭐고 비굴하게 들어오는 그런 협상이라 우리가 조금이라도 고개 빳빳히 들고 항의했으면 이것조차도 못얻었을겁니다.

    글로벌이 대체 뭐가 좋다는건지 점점 의하해 지고있네요.

    사실여부는 알수없으나 성경 구절에 보면 바벨탑사건으로 인간들의 화합을 못하도록 언어를 나눠 각각 흩어지게한 신의 뜻을 왠지 알것도 같다는 생각입니다.

    다시금 합치고있으니 다시 혼돈의 도가니로 빠지는 느낌이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