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대단한관수리188
대단한관수리188

펫을 기르면서 나타나는 알레르기 증상은 궁금합니다?

작년 이맘쯤에 100일정도 된 펫을 기르고 있습니다. 자꾸 예민해지는 증상들이 있어 혹시나 알레르기아 아닌가 의심이 드네요.

잦은기침과 목에 걸린듯한 가래, 콧물과 어리가 띵~하게 무거운 느낌입니다.

혹시나 식도염이 같은 증상이라고 해서 약도 먹고 내시경도 했지만 괜찮다고 합니다. 혹시나 비염일수도 있을것 같아 비염약을 복용했지만 순간뿐 좋아지는 차도를 느끼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혹시나 펫으로 인한 알레르기 증상인가 해서 물어 봅니다. 답답하네요....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푸른하늘이
      푸른하늘이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알레르기는 몸의 면역반응이 특정물질에 과도하게 반응하면서 생기는 증상이기때문에 체질이 바뀌지 않는이상 원천적인 해결이 힘듭니다.

      잦은기침과 가래 그리고 콧물등이 나오는 증상은 알레르기 증상으로 볼수 있어요.

      불편하실경우 항히스타민제 등의 약으로 증상을 조절하게 되요.

      병원에서는 MAST검사라는 알레르기 검사를 해주고 있으니 검사를 해보시고 만약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물질이 있다면 접촉하는것을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애완동물을 기르기 시작하면서부터 해당 증상들이 발생한다면 충분히 알러지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마음 아프지만 애완동물을 잠시 멀리하고 경과를 지켜보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였을 때 증상이 발생하지 않고 호전된다면 애완동물에 대한 알러지가 있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알레르기성 비염 결막염 피부염 등이 있겠네요

      제 답이 굼긍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이기에 다른 선생님들의 의견도 같이 참고하시고요.

      현명한 결정 하사길 기원드립니다.

      몸 건강 하시고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기본적인 알레르기 증상은,

      가려움, 코막힘, 눈물흘림, 두드러기, 재채기 등입니다.

      보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알레르기 비염의 원인으로는 가장 흔한것이 집먼지 진드기가 있습니다. 이것에 관해 중요한 것은 자주 노출될 수록 알러지에 민감해져 증상이 심해진다는 것입니다. 비염이 심해지면 알러지성 결막염도 동반될 수 있고 눈이 빨개지고 가려운 증상도 동반됩니다. 항히스타민제 복용이 도움이되지만 일시적이고 가장 좋은 방법은 알러지가 있는 진드기등의 원인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빨래나 청소도 효과적이고 반려동물에게 진드기 약물을 복용하게 하는법도 효과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동물의 털 알레르기는 참 흔합니다. 반려 동물과 접촉을 할 때 가렵거나, 기침, 콧물이 생기면 알레르기 증상을 의심해 볼 수 있지요. 알레르기에 의한 비염 증상의 경우 약을 드시면 일시적으로 호전되기는 하나 다시 동물과 접촉을 하면 다시 증상이 유발되는 것이 특징이랍니다. 혹시 반려 동물과 접촉을 당분간 피해보시고 증상이 호전된다면 털 알레르기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셔도 됩니다. 아니면 알레르기 검사를 병원에서 받아보셔도 확인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