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정책

강동맘
강동맘

세금날이 25일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모든 직장인들이 월급이 나오는 날을 기다리며 직장생활을 하는데요 지금은 직장마다 월급날이 다르지만 과거에는 대부분 회사 월급날이 25일이었는데 그 이유가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899년 대한제국의 고종황제는 대한천일은행을 설립하였고 천일은행은 일본은행의 관행에 따라 자연스럽게 매달 25일 직원들에게 월급을 지급했고 이에 따라서 월급 및 세금일 등이 25일인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세금날이 25일로 정해지게 된 것에는 특별한 이유는 없으며 25일이 되면 보통 기업들의 결산이 마무리가 되고 5일정도의 여유를 둬야지만 국가에서도 회계작업을 할 수 있다 보니 시간적 어유를 둔것이라고 보여지네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월급날이 25일이었던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월급날이 25일이 되었던 이유는 무려 1899년으로 거슬러 올라가게 됩니다.

      이는 당시 대한천일은행이 일본의 관행을 따라 25일에 지급한 것에서 시작된 기록이 있고

      또 다른 이유는 컴퓨터 전산이 존재하지 않았기에 모든 것을 수기로 했는데

      편리하도록 0이나 5로 끝나는 날짜에 맞춰 계산했다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25일에 각종 은행들이 직원들의 급여를 지급하기 위해 헌금 확보를 했고

      이런 헌금확보가 된 은행 때문이라도 다른 회사들도 이에 맞춰 25일을 월급일로 했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