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토목공학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

멀쩡했던 도로에 직경 2미터 정도의 구멍이 생겼어요

집근처에 대규모 아파트 재개발이 이뤄지고잏는데

바로 옆 도로에 간밤에 갑자기 큰 싱크홀이 발생해서 아침 출근길이 매우 혼잡했는데..

도대체 씽크홀은 왜 생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혁인 과학전문가입니다.

    씽크홀은 다양한 원인으로 지하에 지하수가 빠져나간 빈 공간이 생겨서 발생합니다. 지하의 빈 공간이 커지다가 지표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무너져 내리는 것입니다. 도시에서는 상하수관에서 물이 흘러나오거나 공사장의 흙파기 부분으로 지하수가 유실되면서 주변의 흙을 함께 씻어내서 씽크홀이 생기기도 합니다. 자연적인 씽크홀의 원인은 지각변동, 해수면의 변동 등이 있으며, 강의 방향이 바뀌어서 물이 없던 지표가 젖으면서 무게가 증가하여 발생하기도 합니다.

  • 도심의 씽크홀의 영향은 여러가지 원인에서 발생됩니다.

    지하도. 지하철, 상하수도관, 건물의 지하건축등에의해 지하에 구멍이 생기고

    이구멍에 상층의 물이나 지하수가 흘러들어가 침식이 되면 커다란 공간이 생기게 됩니다.

    이공간의 상판이 버티지 못하면 무너지게 됩니다.

    이것의 도심의 씽크홀이 생기는 대표적인 원인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표면 밑이 암석으로 빽빽하게 모두 채워져 있는건 아닙니다. 빈 공간도 있기 때문에 이 위에 많은 하중이 가해지면 무너지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땅속에 있는 암석이 침식되거나 동굴 등이 무너지면서 지반 위의 힘을 이기지 못하고 땅이 꺼지는 현상을 말한다. 즉, 균열대(지층이 어긋나 균열이 생긴 지역)를 채우고 있던 지하수가 빠져나가면서 빈 공간이 생기거나, 지반의 무게를 견디지 못해 땅이 주저앉으면서 생기는 것이다. 대개 지상에서 보았을 때 둥근 모양으로 거대한 원통 혹은 원뿔형 공간이 지하에 생기며, 그 지름은 수십m, 깊이는 수백m에 이르기도 한다.


    협의의 의미에서 용식함지(溶蝕陷地), 돌리네(doline), 세노테(cenote)도 일종의 싱크홀이라고 할 수 있는데, 주로 지반이 석회암으로 이뤄진 국가에서 많이 발생한다. 싱크홀 문제가 세계적으로 주목받게 된 것은 점차 도시 내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원인도 자연적이라기보다는 지하수 개발, 도시 노후 상하수도관 누수, 지하철 공사 등으로 추정되는 등 인재(人災)에 가까워지는 양상이다. 도심 싱크홀의 대표적 사례는 2007년과 2010년 과테말라 수도 과테말라시티에서 발생한 것으로, 당시 도심 한복판에 깊이 100m의 웅덩이가 생기면서 주택 20여 채가 사라진 바 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싱크홀은 지하의 지하수에 의해 생깁니다

    지하수가 지하의 석회로된 지층을 녹여 구멍이 생기고 이게 싱크홀을 만듭니다

  • 싱크홀이 생기는 이유는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지하 암반이 오랜 기간에 걸쳐 침식되는 경우

    2. 많은 물을 지하 대수층에서 뽑아 올려 사용하여 지하에 큰 구멍이 생긴 경우

    두 경우 모두 석회암의 주성분인 탄산칼슘이 지반 내에서 용해되어 구멍이 생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