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베트남에서 반미라는 쌀빵을 먹게 된 배경이 무엇인가요?

베트남에서는 바게뜨와 비슷하게 생긴 반미라는 쌀로된 빵이 있는데요. 그렇다면 베트남에서 쌀이 많이 나는 국가인데 왜 서양의 바게뜨와 비슷한 반미라는 쌀로된 빵을 현재까지 매우 즐겨먹는 배경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호기로운안경곰148
    호기로운안경곰148
    베트남 반미는 베트남에 프랑스식 바게뜨로 만든 샌드위치라고 할 수 있어요. 프랑스 식민지 때 바게뜨로 만든 음식이 어떤 이유로 베트남 사람들에게 많이 사랑을 받게됐고 그게 대표적인 음식으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19 세기 프랑스가 베트남으로 들려 와, 베트남어 된 음식이라고 볼 수 있어요.
  • 베트남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볼 수 있는 빵이 바게트인데 베트남어로 빵을 뜻하는 반미가 통상적으로 바게트를 의미하는 단어가 되었다는 설도 있습니다. 이 바게트로 만든 베트남식 샌드위치를 반미라고 부르며, '반미'라 하면 대부분 샌드위치를 의미합니다. 베트남에 프랑스의 대표 빵인 바게트를 주재료로 한 샌드위치가 생긴 이유는 오랜 시간 침략의 고통에 시달린 베트남의 아픈 역사와 관련이 있습니다.1850년대부터 1880년대까지 프랑스군은 베트남의 다낭, 비엔호아, 대진, 딘뜨엉 등의 땅을 침략하여 점령한 후, 침략을 이어가 하노이, 하이즈엉, 남딘 등까지 세력을 뻗었습니다. 게다가 내부의 혼란에 빠진 응우옌 왕조로 하여금 국토를 할양하고 배상금을 지불하도록 하는 사이공 조약(1862년) 체결을 강요했습니다. 이 때 프랑스가 얻은 토지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를 이루게 됩니다. 프랑스는 제1차 후에 조약, 제2차 후에 조약을 연이어 맺고 베트남을 보호령에 편입시키는데 성공했습니다. 베트남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총독부의 지배 하에서 무거운 세금과 부역, 소금, 알코올, 아편 전매 등의 착취를 받았습니다. 베트남이 프랑스 식민지 하에 있던 시기(1883~1945)에 프랑스인들에 의해 서양의 각종 빵과 과자류가 베트남에 처음 소개되었으며, 반미의 주재료인 바게트도 이 시기에 전래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베트남인들은 바게트를 처음에는 반떠이라고 불렀는데 이를 직역하면 '외국의 빵과자'라는 뜻입니다. 당시 반떠이는 베트남 부유층의 고급 음식이었으며 주로 연유에 찍어 먹게 되었고 시간이 지나면서 반떠이는 반미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 베트남의 반미는 현재까지 매우 인기 있는 음식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반미가 베트남에서 인기를 얻게 된 배경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프랑스 식 문화 영향: 베트남은 과거 프랑스의 식민지였기 때문에 프랑스 문화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반미는 프랑스의 바게뜨(Baguette)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쌀 재배의 보편성: 베트남은 쌀의 생산이 풍부한 국가로서, 쌀은 베트남에서 주요한 농산물 중 하나입니다. 이에 쌀가루로 만든 반미는 쌀의 보편적인 사용 방식 중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

    현지화된 맛: 베트남 사람들은 반미를 자국의 입맛에 맞게 변형시켜서 다양한 종류의 반미를 즐기고 있습니다. 쌀반미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반미가 있으며, 각 지역마다 그 맛이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베트남에서는 반미가 인기를 끌고 있으며, 현지 주민들뿐만 아니라 외국인 관광객들도 자주 찾는 대표적인 베트남 음식 중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