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rogermaan
rogermaan

케말 파샤는 터키에서 어떤 업적이 있나요

케말 파샤라는 인물이 터키에서는 국부라고 하는데 사람은 터키에서 어떠한 일생과 업적을 쌓았는지 궁금합니다.? 터기 사람들에게 그의 지위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터키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터키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며 제 1차 세계대전 중 다아다넬즈 해협 지대의 겔리볼루에 상륙한 영국, 프랑스 연합군을 격파해 대전의 결과 터키가 세브르 조약을 강요당하여 그 영토가 대폭 줄어들고 그리스가 영국의 뒷받침으로 이즈미르 지방에 침입하자 그는 농민과 자본가의 후원을 받아 애나토울리아 루멜리아 권리 옹호단을 조직합니다.

    1920년 4월 앙카라에 대국민 회의를 열어 술탄, 칼리프 정부를 부인하고 소련의 성원을 얻어 그리스 군을 사카리아에서 격파, 이로 로잔 조약을 체결, 터키 공화국을 설립, 그 뒤 세번에 걸쳐 대통령에 선출됩니다.

    1934년 의회는 터키 인의 아버지 라는 뜻인 아타뤼트크 칭호를 그에게 보내고 1938년 대통령 재직중 사망합니다.

    그가 대통령, 국민 회의 의장, 최고 군사령관, 국민당 당수로 독재적 권력을 휘두른 공화국 정부는 정교분리, 남녀 동긍권의 실행, 서유럽 형식의 입법, 터기 로마자의 채용 등으로 터키의 근대화에 업적을 남겼습니다.

    튀르키예에서 아타튀르크에 대한 국민들의 사랑은 종교에 가까울만큼 열성적이며 길거리 노점부터 대부분의 튀르키예 회사들은 그의 사진이나 어록을 별에 걸어두고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튀르키예의 군인 출신 정치인이자 튀르키예의 초대 대통령.


    갈리폴리 전투와 튀르키예 독립전쟁의 참전영웅으로 그의 성씨인 아타튀르크는 '튀르크인의 아버지'라는 의미를 가지는 이름으로, 그 이름에 걸맞게 현대 튀르키예의 국부로 칭송되고 있다.


    특히 이슬람 문화의 영향을 짙게 받은 오스만 제국 출신임에도 정교분리, 세속주의를 추구했으며, 유럽의 문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서구화를 단행하였다. 그 덕분에 오늘날의 튀르키예는 국민 대다수가 무슬림임에도 불구하고 세속주의 국가를 유지하고 있다. 법체계 면에서도 이슬람 율법인 샤리아가 아닌 대륙법을 따르는 공화제를 유지하고 있다. 그래서 이슬람 근본주의자들과 이슬람 학자들이 철천지 원수로 인식하는 대상 중 하나이기도 하다. 외교에 있어서도 국제정세를 잘 이해하고 잘 행동한 유능한 지도자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