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내과

배고픈햄스터
배고픈햄스터

사구체여과율 계산 공식에 따라 수치가 달라지나요?

나이
24
성별
남성

안녕하세요. 만 23세 남성입니다. 인터넷에서는 사구체여과율이 90~120사이를 정상으로 보던데 저는 한달 전에는 77 두달 전에는 85가 나왔습니다. 근데 제 검사지 참고치에는 60이상이면 정상이라고 적혀있더라구요.

크레아틴은 한달 전 1.18 두달 전 1.08로 나왔습니다. 몸무게는 70입니다.

1. 검색해보니 MDRD 공식으로 계산하면 정상치를 60이상으로 보는 것 같은데 제가 해당 공식으로 계산된 건가요?

2. CKD-EPI 이 공식은 90 이상을 정상으로 보는게 맞죠? 그럼 해당 공식으로 계산했을 때 제 수치는 정상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사구체여과율에 대한 궁금증이 있으시군요. 이 지표는 신장의 기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언급하신 것처럼 사구체여과율은 사용하는 공식에 따라 수치가 다소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공식 중 두 가지를 말씀하셨는데요, 먼저 MDRD 공식은 주로 만성 신장병 환자의 사구체여과율을 추정하는 데 사용되며, 이 공식에서는 60 이상을 정상 기준으로 봅니다. 따라서 병원에서 제공한 참고치가 이 공식에 따라 설정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제 CKD-EPI 공식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는 최근 더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공식으로, 건강한 성인의 경우 90 이상을 정상으로 간주합니다. 이 점에서 봤을 때, 최근 두 번의 검사 수치인 77과 85는 CKD-EPI 기준으로는 약간 낮은 편입니다.

    크레아틴 수치는 몸의 근육량, 체중, 그리고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사구체여과율 평가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두달 전과 한달 전의 크레아틴 수치가 조금씩 증가했네요. 이런 변화 역시 사구체여과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두 가지 공식의 해석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수치라도 해석이 달라질 수 있음을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MDRD 공식에 따르면, 사구체여과율이 60 이상이면 정상으로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해당 공식으로 계산했다면, 60 이상의 GFR이 정상 범위로 간주됩니다. 말씀하신 77, 85라는 수치는 MDRD 공식에 의한 계산값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값은 정상 범위 내에 있는 수치로 볼 수 있죠

    CKD-EPI 공식은 더 최신의 계산 방법으로, 사구체여과율 90 이상을 정상으로 보는 기준을 제시합니다. 만약 이 공식으로 계산했을 때 GFR이 90 이상이라면 정상으로 간주됩니다. 현재 제공된 정보로 CKD-EPI 공식으로 계산된 정확한 수치를 알 수 없지만, 크레아티닌 수치와 나이, 성별 등을 반영했을 때 CKD-EPI 공식에 의한 GFR이 90 이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공식을 기준으로도 정상 범위에 있을 가능성이 큰거죠

    결론적으로, 두 가지 공식 모두에 대해 GFR 수치가 60 이상이면 정상 범위로 볼 수 있으며, 현재 나타난 GFR 수치는 정상 범위 내에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정확한 계산 결과를 확인하려면 각 공식을 사용한 GFR 계산기를 통해 값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네, 사구체여과율(GFR)은 계산 공식에 따라 수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검사지에 60 이상을 정상으로 표기한 것은 아마도 MDRD 공식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MDRD 공식은 주로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 적합하며, 60 이상을 정상 범위로 봅니다. 반면 CKD-EPI 공식은 더 정확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신장 기능이 정상에 가까운 사람들에게 적합하고 90 이상을 정상으로 봅니다. 23세 젊은 남성이라면 CKD-EPI 공식으로 계산했을 때 90 미만이라면 약간 낮을 수 있으나, 크레아티닌 수치가 정상 범위이고 다른 신장 관련 증상이 없다면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