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PSM_1011
PSM_1011

GDP대비 부채가 어느정도가 되야 안정한가요?

한 나라의 GDP대비 몇퍼센트 정도의 부채를 가지고 있어야 경제가 안정하다고 할 수 있나요? 그렇다면 한국의 부채가 1000조를 넘었다는데 한국의 경제 상황은 어떤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한 국가의 부채가 GDP 대비라고 이야기를 하는 것은 한해에 국가가 벌어들이게 되는 수익으로 어느정도의 부채를 감당할 수 있는지를 말하기 때문에 100%이하로 유지가 되는 것이 좋아요

  • 일반적으로 국가의 부채가 GDP 대비 60% 이하인 경우 안정적이라고 평가됩니다. 그러나 이는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며, 국가의 경제 상황, 성장률, 부채 구성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 질문해주신 적정한 국가부채 수준에 대한 답변입니다.

    지난 2020년 한국경제연구원에서는

    적정 수준의 국가부채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그 보고서에 따르면 기축통확국은 97 ~ 114%, 비기축통화국은 37.9 ~ 38.7%가

    적정한 수준의 국가부채라고 하였습니다.

  • 대한민국의 GDP 대비 국가부채비율은 2022년 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49.6%수준입니다.

    OECD 국가 평균은 120.3%이기에 이에 100% 내외라면 국가부채가 비교적 적정한 수준이 아닌가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 요즘은 GDP대비 100% 이하면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갖고 있다고 표현합니다.

    • 한국 부채가 1000조를 넘어섰고 기업이나 국가 부채는 오히려 국제 표준 기준으로 매우 안정적입니다

    • 하지만 국내의 문제는 가계대출입니다

    • 대부분 가계대출이 부동산에 집중되어 있고 그렇기 때문에 정부에서 부동산 부양정책을 안쓸 수 가 없는 상황입니다

      이 부동산 가격이 꺾인다면 일본처럼 경제 침체의 길로 갈 것이기 때문입니다

    • 지금이라도 바람을 조금씩 빼는 정책이 필요한데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