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

바이러스 변이는 왜 생기는 겁니까?

바이러스 변이는 왜 생기는 겁니까?

바이러스 변이는 쉽게 생기는 것입니까? 어떤 조건이 맞아 떨어지면 생기는 것인지

과학적으로 밝혀진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의 돌연변이가 쉽게 발생하는 이유는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RNA가 복제과정에서 변이를 자주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생물의 유전자는 대부분 DNA 형태이지만, 바이러스의 유전자는 RNA 형태가 더 많습니다. 21세기 이후에 새롭게 발견되는 바이러스 대부분이 RNA 바이러스 입니다. RNA는 단일가닥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DNA보다 불안정 합니다. 숙주세포로 들어간 RNA는 유전자 구조의 변화가 쉽게 일어납니다. 변형된 RNA 염기는 유전정보가 분리되거나 탈락된 채로 합쳐져서 새로운 정보를 가진 바이러스로 복제되기 때문에 돌연변이기 쉽게 발생합니다. 이들 돌연변이들 중에서 본래의 바이러스보다 전염성이 높거나 병원성이 강하게 되면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 바이러스는 숙주의 몸 밖에 있을 때 죽은 상태나 다름없습니다.

    그러다 들어갈 수 있는 숙주를 만나면 그 세포 안으로 재빨리 침투해서 살아납니다.

    바이러스는 자기 유전자를 감싸고 있는 단백질을 '숙주 세포'의 단백질과 합쳐 지게되고, 그럼 숙주 세포는 자기 유전자가 아닌 바이러스의 유전 정보를 이용해 단백질을 생산하기 시작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단백질이 합쳐져 '자손 바이러스'가 되는데, 이들은 세포를 떠나 새 숙주를 찾아갈 준비를 합니다.

    대부분 인플루엔자 병원체인 바이러스는 RNA형입니다.

    RNA형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 속으로 들어가면 유전자 구조가 새롭게 바뀌는 경우가 많이 생기게 되고,

    이렇게 만들어진 자손 바이러스는 어미 바이러스와 다른 능력과 형태를 지니게 되어 새로운 형태의 바이러스로 변이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박사입니다.

    바이러스는 생존과 번식을 위해 돌연변이를 일으킨다.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를 감염시키면 세포의 기계를 사용하여 자신을 복제하고 새로운 바이러스 입자를 생성합니다.

    이 과정에서 바이러스 유전 물질에 오류가 발생하여 돌연변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돌연변이는 바이러스가 세포를 감염시키고 번식하고 숙주의 면역 체계를 회피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일부 바이러스는 다른 바이러스보다 더 쉽게 변이합니다. 예를 들어, 독감 및 감기와 같은 많은 일반적인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RNA 바이러스는 DNA 바이러스보다 더 자주 돌연변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RNA가 DNA보다 덜 안정적이고 복제 중에 오류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특정 조건은 발생하는 바이러스 돌연변이의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암세포와 같이 복제율이 높은 세포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는 세포가 더 빨리 복제되고 오류를 생성할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에 돌연변이에 더 취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외선 및 화학 물질 노출과 같은 환경 요인도 돌연변이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가 돌연변이를 일으킬 수 있고 돌연변이를 일으킨다는 것은 과학적으로 입증되었습니다.

    바이러스 돌연변이 과정은 바이러스의 진화와 새로운 바이러스 변종의 출현에 중요한 요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