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외자도입법이 언제부터 생기게 된 법인가요?

외자도입법은 언제부터 생겨났으며 왜 생기게 된것인지 , 의미도 궁금하구요

이 법안은 누가 먼저 주장하게 된 법인지도 궁금합니다.

자세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외자 도입법은 1966년부터 시행되었습니다.

      경제의 자립과 건전한 발전 및 국제 수지의 개선에 기여하는 외자를 효과적으로 유치,보호하고 이들 외자를 적절히 활용,관리하기 위하여 외자 도입과 관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던 법률이며, 1997년 ‘외국인 투자 및 외자 도입에 관한 법률’로 명칭을 바꾸었다가 1998년 ‘외국인 투자 촉진법’ 제정으로 폐지되었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외자 도입법은 1966년부터 시행되었습니다.

      예전에, 경제의 자립과 건전한 발전 및 국제 수지의 개선에 기여하는 외자를 효과적으로 유치(誘致)ㆍ보호하고 이들 외자를 적절히 활용ㆍ관리하기 위하여 외자 도입과 관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던 법률입니다.

      1997년 ‘외국인 투자 및 외자 도입에 관한 법률’로 명칭을 바꾸었다가 1998년 ‘외국인 투자 촉진법’ 제정으로 폐지되었습니다.

      출처: 네이버 국어사전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1966년 “경제의 자립과 그 건전한

      발전 및 국제수지의 개선에 기여하는

      외자를 효과적으로 유치·보호하고

      이들 외자를 적절히 활용·관리함을

      목적”으로 「외자도입법」이

      제정되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60년대 초반까지 주로 공공차관 형태로 도입되던 외국자본은 점차 상업차관 형태로 그 성격이 바뀌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것은 경제개발 과정에서 민간자본의 역할이 점차 커져가고 있던 사정을 반영한 것이었지요. 즉, 1963년부터 국내 총 고정자본 형성에 있어 민간부문이 국가부문을 압도하게 되었고, 민간자본의 주된 자금조달 방식은 외부자금이었다고 합니다.1966년 외국자본의 국내 유치 활성화를 위해 제정된 법률이 바로 외자 도입법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1960년대 외자도입법이란 법이 처음 시행되었다고 컴퓨터 이리 저리 찾아보니 나오네요 ㅎ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