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활달한뜸부기28
활달한뜸부기28

사헌부 사건부 홍문관을 3사라 부르는 이유?

3사가 3개의 사 줄임말 아닌가요?

'사'헌부

'사'건부

홍문관?

3개의 '사'라는 의미면 홍문관은 포함 안되지 않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3사는

    사헌부(司憲府), 사간원(司諫院), 홍문관(弘文館)의 3개 기관을 합쳐 부르던 용어입니다.

    언론(言論) 기능을 수행했기 때문에 언론삼사라고도 불렀습니다.

    사헌부는 관리에 대한 감찰과 탄핵 업무를 담당하는 한편, 정치 전반에 대한 언론 기능을 수행했습니다.

    사간원은 국왕에 대한 간쟁을 담당함과 동시에 국정 현안에 대해서도 언론을 행사하였습니다.

    두 기관을 통칭하여 대간 혹은 양사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홍문관은 세조(世祖, 재위 1455~1468) 대 혁파된 집현전의 후신으로,

    경연을 주재하는 한편, 왕명을 제작하거나 궁궐 안에 있는 서적을 관리하는 등 주로 학술 분야를 담당하는 기관이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사에서 사는 司(맡을 사)로 직무로서 어떤 일을 맡다, 지키다, 벼슬 등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이 삼사 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3사가 3개의 사 줄임말이 맞습니다.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은 모두 조선시대의 관직으로, '사'라는 글자가 들어 있습니다. 따라서 3사라고 하면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3사라고 하면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중에서 사헌부와 사간원을 중심으로 한 3개의 관직을 의미합니다. 홍문관은 사헌부와 사간원과는 다른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사헌부와 사간원은 조선시대의 언론기관으로, 국왕의 잘못을 지적하고, 부정부패를 감시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홍문관은 조선시대의 문묘와 함께 유교의 교육기관으로, 국왕의 경연을 주관하고, 학문을 장려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따라서 사헌부와 사간원은 조선시대의 정치와 사회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언론기관으로서의 기능이 강했습니다. 반면, 홍문관은 학문기관으로서의 기능이 강했습니다.

    따라서 3사라고 하면 사헌부와 사간원을 중심으로 한 3개의 관직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홍문관은 사헌부와 사간원과는 다른 역할을 하기 때문에, 3사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