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 은행잎이 되는것도 화학적인가요? 아니면 다른건가요?
우리가 가을되면 나뭇잎들이 갈색으로 변하거나 노랗게 변하는것들이 잇는데요
노란 은행잎 역시도 노랗게 변하는데 이것도 화학변화라고 볼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은행잎이 가을에 노랗게 변하는 것은 화학 변화로 볼 수 있습니다. 가을이 되면 광합성이 줄어들면서 엽록소가 분해되고, 그동안 엽록소에 가려져 있던 카로티노이드와 크산토필 같은 노란색 색소가 드러나게 됩니다.
이 과정은 식물의 생리적 변화로, 엽록소의 분해로 인해 색소의 비율이 변화하면서 잎의 색이 변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나뭇잎은 녹색을 띠는 엽록소(cholorophyll)라는 물질이 풍부합니다. 이 엽록소는 광합성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가을이 되면서 나무는 점차 겨울을 준비합니다. 광합성 활동이 줄면서 나무는 엽록소를 분해하며, 그 자원을 다른 곳에 저장하려고 합니다. 엽록소가 분해되면서 나뭇잎에 원래 함유되어 있던 카로티노이드(carotenoids)와 같은 다른 색소들이 드러납니다. 카로티노이드는 노란색과 오렌지색을 띠는 색소로, 엽록소에 의해 가려졌던 색들을 나타내게 됩니다.
은행나무 잎의 경우, 특히 노란색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이유는 이 나무가 클로로필 a(chlorophyll a)와 클로로필 b(chlorophyll b)를 분해하고, 제아잔틴(zeaxanthin)이라는 황색 색소가 드러나기 때문입니다. 제아잔틴 외에도 다른 카로티노이드 색소들이 존재하여 노란색과 금색을 강하게 나타냅니다.
이러한 변화는 날씨가 추워지고 일조량이 감소하면서 시작되는데, 이는 식물의 내부 호르몬과 환경적 요인에 의해 조절됩니다. 따라서 은행나무 잎이 가을에 노란색으로 변하는 것은 식물의 자연스러운 생리적 반응이며, 이는 명확히 화학적 변화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