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파의 진동이 물체를 통과하는 것과 관련이 큰가요??
전자파의 진동이 물체를 통과하는 것과 관련이 큰가요?? 파장이 짧으면 진동수가 커서 뭂체를 통과흘를 잘못한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자파의 진동이 높으면 그만큼 더 많이 진동을 합니다. 그러면 그 전자파가 물체에 닿으면 물체의 전자나 원자등에 부딪히면서 흡수되거나 반산 또는 산란될수 있습니다. 그래서 통과하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진동의 크기에 따라서 물체를 통과를 할수는 가능성이 더 크다 작다를 알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전자파가 물체를 통과하는 것은 파장, 진동수는 관련이 큽니다. 전자파는 파장이 길면 진동수가 낮고, 파장이 짧음ㄴ 진동수가 높습니다. 파장이 긴 전자파는 물체나 장애물을 잘 통과하는 경향이 있는데, 예를 들어 라디오파처럼 긴 파장은 벽이나 건물을 어느정도 뚫고 지나갈 수있습니다. 반면 파장이 짧고 진동수가 높은 전자파, 예를 들어 자외선이나 x선 같은 전자파는 물체에 흡수되거나 반사되기 쉬워서 쉽게 통과하지 못ㅅ합니다. 그래서 파장이 짧을수록 물체를 통과하는 능력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전자파의 진동 특성은 물체를 통과하는 방식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죠. 전자파가 물체를 통과하는 정도는 물체의 종류나 전자파의 진동수그리고 전자파가 물체에 미치는 흡수, 반사, 투과같은 작용에 따라 달라지는거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전자파가 물체를 통과하는정보는 파장과 물질의 성질에 크게 좌우됩니다 일반적으로 파장이 짧고 진동수가 높은 전자파는 원자와강하게 상호작용해 표면에서 흡수되거나 산란되어 투과성이 떨어지지만 특정한 경우에는 엑스선처럼 높은 에너지가 원자를 뜷고 지나가 투과력이 강해지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전자파의 파장이 짧을수록 진동수가 커집니다.
이 경우 전자파가 물체를 통과하기가 어려워지며, 반면 파장이 긴 전자파는 물체를 잘 통과합니다.
따라서 파장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며 인체로 비유하자면 주파수가 낮으면 신경이나 근육을 자극하는 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