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명경지수 라는 사자성어의 의미와 유래를 알고싶습니다.

명경지수라는 사자성어의 의미와 유래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예를 든 문장 하나도 같이 소개해주시면 이해가 더 쉬울듯 합니다.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명경지수( 明: 밝을 명, 鏡:거울 경, 止:그칠 지, 水:물 수)는 직역하면 맑은 거울과 고요한 물이라는 말이지만, 잡념과 헛된 욕망이 없는 아주 깨끗한 상태의 마음이라는 뜻입니다. 예문을 든다면 < 비록 명경지수와 같은 마음은 아니지만, 헛된 욕망을 버리고 나니 마음 편하다>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명경지수의 유래는 춘추시대 노나라의 왕태라는 사람은 죄를 짓고 형벌을 받아 외다리가 되었지만, 학문이 높고 성품이 인자해 공자와 비슷할 정도로 많은 제자들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공자의 제자인 상계가 못마땅하게 여기며 공자 에게 "스승님, 왕태라는

    사람은 어떻게 많은 사람에게 존경받는 것입니까?" 라고 물었고 공자는 다음과 같이 대답했습니다. "사람은 자신의 모습을 물에 비춰 보고자 할 때 흐르는 물이 아닌 고요하게 정지되어 있는 물을 거울로 삼아야 가능하다. 정지되어있는 물처럼 흔들리지 않는 마음을 가진 사람만이 다른 사람의 마음을 평화롭게 할 수 있는데, 왕태가 바로 그런 사람이니라. 왕태는 감정이나 쾌락에 이끌리지 않고 덕이 조화를 이 루는 상태에서 사물의 본질만을 꿰뚫어 볼 줄 아는 사람인 것이다. 그러니 그를 따르는 제자들이 많고, 그들이 하나같이 올바른 가르침을 얻는 것이니라." 이 말에서 고사성어가 유래되었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명경지수는 밝은 거울과 정지된 물이라는 뜻으로, 고요하고 깨끗한 마음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그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형벌로 다리가 잘린 왕태는 문하생이 공자의 문하생에 필적할 만큼 많았는데, 상계가 그것을 불만스럽게 여겨 공자에게 물었습니다. 「왕태는 자기 몸을 닦고 자신의 지혜로 마음의 본체를 깨달은 것 뿐이어서 자기를 위한 수행이지 다른 사람을 위한 것은 아닌데 어찌 그에게 많은 사람들이 모여듭니까?」 공자 왈(曰) 「사람은 흐르는 물을 거울로 삼지 않고 고요한 물을 거울 삼는다.」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명경지수는 장자 덕충부편에 나오는 말입니다. 노나라에 죄를 지어 다리가 잘린 왕태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를 따라 배우는 사람의 수가 공라의 제자 수와 같았다고 합니다. 공자의 제자가 그에게 사람이 모여드는 까닭을 묻자 공자는 다음과 같이 대답합니다. 사람이 흘러가는 물에는 비취볼 수가 없고 고요한 물에 비춰봐야 한다. 오직 고요한 것만이 고요하기를 바라는 모든 것을 고요하게 할 수 있다라고 대답한 것입니다. 이와같이 명경지수는 본래 우위의 경지를 가리켰으나 후일 그 뜻이 변하여 순진무구한 깨끗한 마음을 가리가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