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기특한웜뱃18
기특한웜뱃18

지각의 두께와 철의 유무는 어떤 관계가 있나요?


대륙지각의 두께가 두꺼워서 마그마가 지표로 올라오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지표에 올라왔을 때 저온이 되는건 알겠어요. 근데 그게 철이 없는 거랑 무슨 관련이 있는 건가요?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지각 아래의 맨틀은 높은 온도와 압력하에 있꼬 부분적으로 녹아 마그마를 가지게 되죠. 이 맨틀 마그마는 일반적으로 철과 마그네슘이 풍부하여 초염기성 마그마라고 불리우며 맨틀에서 생성된 마그마가 지각으로 상승하면서 지각의 두꼐와 밀도에 따라 마그마의 이동경로와 속도를 다르게 하는데 이는 대륙지각이 해양지각에 비해 두껍고 밀도가 낮으며 두꺼운 대륙지각을 통과하는 동안 마그마는 지각 물질과의 상호작용 및 냉각으로 인해 성분의 변화를 하게 하므로 그렇습니다! 마그마가 지각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점차 낮아지고 여러 광물이 순차적으로 결정화되며 고온에서 철과 마그네슘이 풍부한 광물들이 결정화되어 분리하게 되는것이지요~ 마그마는 철과 마그네슘이 적어지면서 실리카와 같은 가벼운 원소가 상대적으로 많아지는 분화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대륙지각을 통과하는ㄷ ㅗㅇ안 마그마가 냉각되고 분화됨에 따라 철과 마그네슘이 풍부한 광물이 먼저 결정화되어 제거되고 지표에 도달하는 마그마는 철과 마그네슘이 적고 실리카와알루미늄은 많은 조성으로 변하게 되면서 철 함량이 감소하게 되는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