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심리학이나 심리학 조금 아시는 분ㅠㅠ (학부생 질문)
애착이론과 관련하여
애착이론은
불연속성 발달, 연속성 발달중에 어떤 것이며
애착이론에서 정의하는 발달은 무엇이며,
발달의 과정은 어떠한지....
아시는 분 답좀 부탁드릴게요ㅠ
안녕하세요. 궁금증 효자손입니다.
애착 이론은 아동 발달 심리학에서 중요한 이론 중 하나로, 아동이 부모나 주요 돌봄 제공자와 형성하는 강한 정서적 연결을 연구하는데 중점을 둡니다. 애착 이론은 불연속성 발달과 연속성 발달 개념을 다루며, 아래에서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불연속성 발달 vs. 연속성 발달:
불연속성 발달(Discontinuous Development): 이는 발달 단계가 서로 분리되어 있고, 각 단계가 다른 단계와 관련이 없다는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아동 발달 단계가 각각 서로 다른 특징과 성장으로 나뉘며, 한 단계를 마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고 가정합니다.
연속성 발달(Continuous Development): 이는 발달이 연속적이며 단계 간의 구분 없이 서서히 변화해 나간다는 개념입니다. 아동의 발달이 부드럽게 연결되어 있으며, 새로운 기능이 이전 기능을 보완하면서 형성된다고 가정합니다.
애착의 정의:
애착은 아동과 부모 또는 주요 돌봄 제공자 간의 감정적 연결 및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이론적으로, 애착은 아동의 안정감, 안전감, 그리고 자신감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애착은 일반적으로 아동이 부모나 돌봄 제공자에게 의지하고, 그들로부터 보호와 안전을 느끼는 정서적 연결을 설명하는데 사용됩니다.
애착 발달 과정:
애착 이론은 아동의 발달 단계에서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아동이 유아기 동안에 형성됩니다. 중요한 개념으로는 "안전한 기반"이라는 개념이 있으며, 부모나 돌봄 제공자가 아동에게 안전감과 안정감을 제공하면서 아동의 정서적인 필요를 충족시키는 과정을 다룹니다. 애착은 초기 발달에 중요하며, 어린 시기의 안전한 애착이 아동의 심리적 안정과 나중에 발생할 여러 측면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이론화됩니다.
애착 이론은 아동 발달에 관한 중요한 이론 중 하나로, 아동과 부모 또는 돌봄 제공자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론은 불연속성 발달 개념보다는 연속성 발달 개념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