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의 표면 장력을 전기로 없앨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거울이나 유리 같은 곳에 비가오면 물방울이 맺히잖아요
맨날닦아주고 해야해서 불편한데
소량을 전기를 흘려서 유리에 붙어있는 물의 장력을 전기로 무력화 시킬수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가능합니다. 이를 일렉트로웨팅이라고 합니다. 일렉트로웨팅은 물방울의 표면장력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입니다. 물방울의 표면장력은 물분자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으로, 물방울이 표면에 달라붙게 하는 원인입니다. 전기를 흘리면 물분자 사이의 인력이 약해져 물방울이 표면에서 떨어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물의 표면 장력을 전기로 직접적으로 제거하는 것은 현재 기술로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전기를 활용하여 물방울의 이동을 유도할 수는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전기를 이용해 고전압을 걸어주면 물방울이 표면을 따라 이동하게 만들어 쉽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유리 표면에 발수 코팅을 적용하면 물방울이 쉽게 흘러내려 청소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전기적 방법보다는 물리적 혹은 화학적 코팅 방법이 보다 현실적인 해결책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표면 장력을 약화시키는 물질
- 물 분자들은 수소결합을 하므로 표면장력이 크지만,
- 비누 등 계면활성제는, 표면에 몰려있으면서, 수소결합을 파괴하므로,
• 계면 활성제 (surface Active Agent, surfactant)
•. 보통, 한 분자 속에 친유기와 친수기가 함께 들어 있는 양쪽 친매성인 물질
- 물의 표면장력을 약화시킴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량의 전기를 흘려서 유리에 붙어있는
물의 장력을 무력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전기웨팅이라고 합니다.
저도 처음 들어봅니다. 하지만 기술적으로는 가능합니다.
전기웨팅은 물의 표면장력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입니다.
물의 표면장력은 물 분자가
서로 끌어당기는 힘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전기를 가하면 물 분자의 전하가 변하고
그에 따라 물 분자 간의 인력이 변화합니다.
물의 표면장력이 감소하고 물방울이
유리 표면에 달라붙는 힘이 약해집니다.
전기웨팅을 이용하면 거울이나 유리 같은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자동차의 창문이나 선글라스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등에 적용하면
물방울로 인해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센서나 의료 장비 등에 적용하면 물방울로 인해
장치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전기웨팅을 구현하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유리 표면에 전극을 부착하고 전극에 전압을 가하는 방식으로 구현됩니다.
전압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물의 표면장력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의 표면 장력은 전기로 간단히 없애는 것은 어렵습니다. 표면 장력은 물 분자들 사이의 분자력에 기인하며, 이는 전기적인 힘과는 분리된 개념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전기적인 방법으로 물의 표면 장력을 바로 없앨 수는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기 습윤 현상은 유체의 표면에 전기장을 가해 주면 표면장력이 변하는 현상이다. 리프만이 19세기에 발견한 방법은 기판과 유체 사이에 직접 전압을 흘리는 방법으로써, 물과 같은 분자의 경우 전기분해가 되어 버려 아주 작은 전압 사이에서만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전압차가 작으면 표면장력의 변화도 작았기 때문에, 리프만이 발견한 방법으로는 큰 연구성과를 얻지 못하였다. 그러나 1990년 프랑스의 브루노 버지 박사가 새로운 방법을 고안해내었다. 바로 기판과 유체 사이에 얇은 절연체를 끼워 넣는 것인데, 이렇게 하면 절연체가 전자의 이동을 방해하여 물이 전기분해 되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전압을 20V정도까지 올려도 문제가 없었기에, 표면장력에 꽤 큰 변화를 줄 수 있었다.
출처 : 위키백과 - 전기습윤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