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인박해와 병인양요의 차이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1866년 병인해에 많은 일이 있었잖아요~ 그중에 병인박해와 병인양요의 일이 일어났는데요~ 병인 박해와 병인 양요의 차이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병인박해는 1866년 천주교 신자 박해입니다. 대원군은 원래 묵시적으로 천주교를 인정했던 인물입니다. 1860년 러시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으면서 러시아가 두만강을 건너 통상을 요구하자 위기의식을 느끼게 됩니다. 이 때 대원군은 프랑스와 동맹을 맺어 러시아를 방어하려 하였습니다. 그러나 대원군과 베르뇌와 주교 다블뤼가 만남이 어렵게 되고 중국에서 영불 연합군의 살육 사실이 알려지면서 급변하여 천주교 탄압으로 돌아서게 됩니다. 병인박해로 선교사 9명을 비롯해 8000여명의 신자가 순교하게 됩니다.
병인양요는 1866년 프랑스가 침략한 행위입니다. 프랑스는 병인박해를 구실로 군함을 보내 조선을 침략하였습니다. 프랑스군은 선전 포고도 없이 강화도를 공격하여 점령하고, 약탈과 살인을 자행하였습니다. 이에 맞서 한성근 부대가 문수산성에서 격전을 벌였고, 양헌수 부대가 삼랑성(정족산성)에서 프랑스군을 물리쳤습니다. 프랑스군은 더 견디지 못하고 약 1개월 만에 철수하였습니다. 프랑스는 물러가면서 강화도의 주요 시설에 불을 지르고 외규장각 도서 등 귀중한 문화유산과 재물을 약탈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5,000여 권의 귀중한 왕실 도서가 불탔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병인박해
조선 후기 흥선대원군이 주도한 천주교 탄압 사건으로, 1866년부터 1871년까지 지속되었습니다.병인양요
병인박해로 인해 프랑스 선교사들이 처형되자, 이에 대한 보복으로 프랑스군이 조선의 강화도를 침략한 사건으로, 1866년에 일어났습니다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병인박해는 1866년=병인년에 일어난 기독교 박해사건을 뜻하는거고
이거때문에 화난 서양세력이 같은년도에 공격한 것이 병인양요입니다
병인(년에 일어난 기독교)박해
병인(년에 일어난 서)양(인의 소)요
소요(騷擾)=폭동 등 여럿이 모여 사회를 혼란케 하는 행위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866년 병인박해는 우리나라에 포교를 위해 왔던 프랑스 신부들과 포교로 인해 천주교 신자가 된 우리나라 신자들에게 한강에 커다란 십자가를 놔두고 밟고 지나가면 살려주고 밟지 않으면 목을 베었던 천주교 박해사건입니다. 이로 인하여 프랑스 신부가 죽고 이를 알리기 위해 탈출한 프랑스 신부로부터 사실을 듣고 이를 빌미로 조선과 통상수교를 위해 병력을 동원하여 강화도로 쳐들어 온 것이 병인양요입니다. 이를 물리치기는 했으나 우리나라도 많은 피해가 있었으며 외귝장각의 중요 문화재들이 약탈당하기도 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병인박해(丙寅迫害)는 1866년(고종 3년) 조선 말기 흥선대원군 정권에 의해 벌어진 대규모의 천주교 탄압을 말합니다. 병인사옥(丙寅邪獄)이라고도 하며, 1872년까지 6년간 진행된 탄압으로 당시 8천여 명이상의 평신도와 프랑스 파리 외방전교회 출신의 선교사 등이 처형되었는데 병인 박해로 프랑스 선교사 9명이 사망하자 이를 구실 삼아 천진에 있던 프랑스 극동사령관 로즈 제독이 함대를 이끌고 조선을 침공하였습니다 1차 침공때는 한강을 거슬러 올라와 양화 나루와 서강까지 순찰만 한 후 조용히 물러갔으나 이내 전력을 보강하여 강화도를 침공한 후 점령하였다. 프랑스는 책임자 처벌과 통상수교를 요구했으나 흥선대원군이 거부하자 양측간에 물리적인 충돌이 발생했다. 1866년 11월에 퇴각하면서 강화읍을 파괴하고 방화하였으며 강화 이궁과 외규장각 등에서 각종 무기, 수천권의 서적, 국왕의 인장, 19만 프랑 상당의 은괴를 약탈하였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