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깍듯한푸들251
깍듯한푸들251

주식투자와 선물투자는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주식투자와 선물투자는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오징어게임이란 드라마에서 봤는데

선물투자는 금액의 규모가 주식보다 훨씬 커서 투자를 잘 못해서 작중의 증권전문가가 큰 빚을 졌다는 시나리오가 있더라구요. 그래서 문득 어떤 것일지 궁금해졌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주식투자와 선물투자는 모두 투자 대상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그 방식과 특징에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주식투자는 기업의 주식을 구입하여 그 기업이 성장하거나 이익을 내는 것에 따라 주가 상승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것입니다. 주식투자는 주로 장기간 보유를 목적으로 하며, 기업의 경제 환경 변화나 산업 동향 등을 분석하여 투자하게 됩니다.

      반면에 선물투자는 미래에 일어날 가격 상승 또는 하락을 예측하여 그에 맞추어 매수 또는 매도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것입니다. 선물 시장에서는 주로 농산물, 금속, 화학물질 등의 원자재에 대한 선물 계약을 체결하게 됩니다.

      또한, 주식투자는 기업의 성장성과 이익 등에 따라 변동성이 크고, 주식시장 자체의 흐름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에 선물시장은 기술적 분석에 의존하며, 주로 단기간 내에 매매가 이루어지므로 변동성이 높은 편입니다.

      따라서, 주식투자와 선물투자는 그 특징과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투자목적, 시장분석 방법, 투자기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투자전략을 선택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영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 투자는 시세차익을 목적으로 주식회사의 증권을 사고 파는 투자 활동을 의미한다. 선물 및 옵션과 같은 파생상품에 투자하는 것은 주식투자라 부르지 않으며 현물 투자만을 주식투자로 일컫는다. 그 대상은 상장주식이 될 수도 있고 비상장주식이 될 수도 있으나, 코스피 및 코스닥 등의 주식시장에서는 상장주식만이 매매가 가능하므로 일반적으로 상장주식의 매매를 일컫는 경우가 많다.



      현물거래와 선물거래란?


      우리가 필요한 물건이 있을 때 현재 물건 값을 지불하고 물건을 구매하는 것을 '현물거래'라고 합니다. 이것과는 다르게 현재 물건을 구매하지 않지만 특정 기간(6개월, 1년 후)이 지난 후에 물건이 필요할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 현재 시점에 물건 값과 받을 날짜 등을 확정해 계약을 하고 계약한 날짜에 물건과 대금을 교환하는 방식이 바로 '선물 거래'입니다. 특정 금융자산이나 상품을 미리 결정된 가격으로 미래 특정 시점에 매수, 매도할 것을 약속하는 거래죠.


      예를 들어...


      쌀농사를 짓는 농부가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쌀은 날씨 상황에 따라 풍작이 될 수도 있고 흉작이 될 수도 있습니다. 현재 쌀 한 포대의 가격은 3만원이지만 올해 쌀 가격이 떨어질까봐 걱정이 많습니다. 그 때 쌀을 구매하고자 하는 업체가 나타났고, 업체는 농부에게 6개월 후에 쌀을 포대당 4만원에 사겠다고 제안합니다. 농부는 현재 시세가 3만원인데 6개월 후 4만원에 판매할 수 있다면 괜찮은 딜이라고 생각해 계약을 진행합니다.



      농부와 게임을 시작하지...!

      계약은 성사되었고, 6개월 후에 쌀 가격이 얼마가 되었든 4만원에 거래를 해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기본적인 선물거래 방식입니다. 여기서 기초자산은 농부가 수확한 원자재 쌀이 됩니다. 쌀 구매자는 선물 매수자, 쌀 생산자는 선물 매도자가 되는 것입니다.


      시간이 흘러 6개월이 지났고, 쌀의 시중 가격은 6만원이 됐습니다. 계약에서 누가 이득을 봤을까요? 당연히 쌀 구매자가 이득일 겁니다. 현재 6만원에 거래되는 쌀을 4만원에 구매할 수 있으니까요. 반대로 농부는 2만원을 더 받고 팔 수 있었지만 미리 선물매도를 했기 때문에 6만원에 팔 수밖에 없습니다. 농부는 포대당 2만원가량 손실을 입게 된 것입니다.


      주식시장에서...


      주식시장에서도 선물거래는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기초자산(원자재, 지수(코스피, 나스닥, S&P 등), 주식)을 선택하고 앞으로 미래에 상승과 하락에 베팅하면 됩니다. 기초자산의 상승과 하락에 베팅한 후 향후 기초자산의 등락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는 구조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주식투자와 선물투자의 차이점은 주식투자는 기업의 주식을 매수하여 가치 상승을 통한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고, 선물투자는 향후 일정 기간 후에 일정 가격에 매도할 의무가 있는 파생상품을 매수하여 가격 변동으로 인한 이익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주식과 달리 선물은 미래에 일정 가격에 매도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선물 시장에서 금 선물을 매수한 경우, 금의 가격이 상승하면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격이 하락하면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선물투자는 주식보다 복잡하고 위험한 투자 방법으로, 전문가나 숙련된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선물투자는 레버리지(대출을 이용한 투자)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식보다 더 큰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선물투자를 할 때에는 충분한 지식과 경험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