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가 태풍의 강도나 발생빈도에 영향을 주나요?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이번 겨울은 잦은 눈과 강추위로 제법 고생을 많이 했죠
여름철 장마를 비롯해 태풍의 강도나 발생빈도에도 영향을 줄까요?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 태풍은 주로 따뜻한 바다에서 발생하게 되는데 - 온난화로 인하여 바다의 온도가 올라가게된다면 - 태풍의 빈도도 높아질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 지구 온난화라고 해서 지구의 모든 지역이 뜨거워지는 것이 아니고, 반대 편에는 극한의 추위가 함께 발생합니다. 태풍이 발생하는 이유는 열에너지를 분산하기 위한 자연스러운 현상인데, 폭염과 극한의 추위 지역이 존재한다면 더 강한 태풍이 발생하여 더 많은 에너지를 교환하려고 할 것입니다. 태풍이 발달하는 상승기류도 따뜻한 공기와 차가운 공기가 섞이면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충돌하는 공기덩어리의 온도 차이가 클수록 태풍도 강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불꽃인생 과학전문가입니다. - 지구 온난화는 해수면 온도 상승을 유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해수면 온도의 상승은 강한 태풍을 더 많이 발생시키게 됩니다. 많은 이론이 해수면 온도와 태풍 강도와의 관계를 설명하지만, 그중에 가장 많이 인용되는 것이 엠마뉴엘 교수의 ‘열기관’ 이론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태풍은 따뜻한 해수와 대기 상층의 차가운 공기와의 온도 차로 움직이는 일종의 열기관이라는 것입니다. 즉 따뜻한 바다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상승하고 이것이 상공의 찬 공기와 만나 응결하는 과정에서 방출되는 에너지가 태풍의 에너지원이 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바다는 더 따뜻할수록, 상층 대기의 온도는 더 낮을수록 태풍은 더 강하게 발달합니다.
- 르 샤틀리에 원리는 화학 평형이동의 법칙입니다. - 간단히 말하면 에너지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움직인다는 개념입니다. - 이 법칙을 지구온난화에 적용해보면, - 지구는 태풍을 크게 만들어서 지구의 온도를 낮추려고 합니다. - 따라서 지구 온난화가 영향을 주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 지구 온난화가 심해지면 아래와 같은 현상이 일어날수 있습니다. - 단순히 적란운 생성의 반응이 심화되어 크게 생긴다는 말도 있고, 빙하가 녹아 밀도가 낮아져서 밀도 차가 작아지게 되어 심층 순환이 약해져 에너지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태풍이 심해진다는 것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 그렇다고 볼수 있습니다. 바닷물의 온도가 높아지고 수증기 발생을 많이하니 그렇다고 볼수 있씁니다. - 태풍의 원동력은 바닷물이 수증기로 올라오면서 생기는 현상이니까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은 에너지를 따뜻한 바다에서 얻게 됩니다. 즉 온도가 올라갈 수록 태픙의 발생횟수와 강도가 올라간다는 말이됩니다. 또한 온난화가 진행되면서 수증기의 증발 또한 활발해져, 집중 호우 또한 심화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