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준이 금리인하를 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미국 연준의 제롬 파월의장은 왜 금리인하를 하지 않고
계속 데이터를 확인한다고만 하는것인까요?
이미 경기침체에 들어섰으며 금리인하를 해야한다는 의견들이 지배적인데
데이터 타령만 하고 항상 한발늦게 대처를 하는건지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 연준이 금리 인하를 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바로 미국의 새로운 행정부가 관세 정책을 펼치면서
미국 내의 물가가 오르고 있기 때문에
쉽게 금리 인하 정책을 결정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2분기 역성장을 했지만 아직 물가상승률이 높고 고용지표를 보면 안정적입니다
연준은 물가상승률을 억제하고 완전고용을 목표로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방식이라서 아직 데이터를 더 지켜보고 싶어하는거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래도 페드워치상 올해 미국은 3-4회 기준금리를 인하할 확률이 높은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무작정 금리인하를 할 수 없는 이유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연관이 있습니다.
관세 수준이 예상보다 상당히 높은 수준이며 인플레이션과 성장 둔화가 예상되는 상황입니다.
물가를 잡을지 성장을 잡을지 연준에서는 상당히 고심해야할 상황이기 때문에 금리인하는 신중할 수 밖에 없는 것이지요.
좀더 글로벌 경기 상황이나 시장 흐름을 보고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연준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물가 안정입니다. 현재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둔화되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연준의 목표치인 2%를 상회하고 있습니다. 성급한 금리 인하는 인플레이션을 다시 자극할 위험이 있습니다. 특히 기대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는 조짐이 보일 경우, 연준은 더욱 신중하게 통화 정책을 결정할 수밖에 없습니다. 또 다른 연준의 중요한 목표는 최대 고용입니다. 현재 미국의 노동 시장은 여전히 견조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실업률도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강력한 노동 시장은 임금 상승 압력으로 이어져 인플레이션을 지속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준은 노동 시장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며 금리 인하 시점을 저울질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연준은 과거 물가는 일시적인 것이라고 판단했다가 크게 당한적이 있습니다.
따라서 앞으로 연준은 물가를 끈적하게 움직인다고 가정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의 물가 수준에서 더 금리를 내렸다가 오히려 다잡은 물가를 놓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에 금리를 내리지 않았습니다.
감사합니다.